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낙사(樂事)[냥신낙사가(냥신낙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즐거운 일.

낙사(樂事)[냥신낙사가(냥신낙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즐거운 일.

낙사(樂事)[사모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즐거운 일.

낙사(樂事)[칠여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재미 붙일 만한 일.

낙사(樂事)[회혼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재미 붙일 만한 일.

낙산사(洛山寺)[사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전진리 낙산에 있는 절. 신라 문무왕 16년(676)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창건했다고 한다

낙산사(洛山寺)[석천집(石川集二-三)2-3 63 페이지 / 전적]

강원도 양양군에 있는 절로 관동팔경의 하나다. 신라시대에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창건했다.

낙산사(洛山寺)[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6 페이지 / 전적]

강원도 양양군에 있는 절.

낙산시(落山寺)[관동별곡 12 페이지 / 전적]

양양 동쪽 바닷가에 위치한 절로서, 관동팔경의 하나.

낙상(落傷)[회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떨어지거나 넘어져서 다침.

낙서(洛書)[해몽가라(몽가라) 6 페이지 / 전적]

중국 하(夏)나라의 우왕(禹王)이 홍수를 다스렸을 때 낙수(洛水)에서 나온 거북의 등에 쓰여 있었다는 글. 이것을 바탕으로 우왕이 ‘홍범구주(洪範九疇)’를, 문왕이 ‘후천팔괘’를 만들었다 함.

낙서(洛書)[천황이복강어환과고독가(天皇이福降於鰥寡孤獨歌) 10 페이지 / 전적]

중국(中國) 하(夏)나라의 우왕(禹王)이 홍수(洪水)를 다스렸을 때, 낙수(洛水)에서 나온 영묘(靈妙)한 거북의 등(等)에 쓰여 있었다는 글. 서경(書經)의 홍범구주(洪範九疇)의 원본(原本)이 되었다하며, 팔괘(八卦)의 법도 여기서 나왔다 함

낙서(洛書)[직금가라 10 페이지 / 전적]

중국 하나라의 우왕(禹王)이 홍수를 다스릴 때에, 뤄수이(洛水) 강에서 나온 거북의 등에 씌어 있었다는 마흔다섯 개의 점으로 된 아홉 개의 무늬. 팔괘와 홍범구주가 여기에서 비롯한 것이라고 한다.

낙서(洛書)[거창가라 6 페이지 / 전적]

하우씨의 9년 치수 때 낙수에서 나온 신구(神龜)의 등에 있었다는 글로서 '서경' 홍범구주의 기원이 되었다고 함.

낙서(洛書)[아림가(娥林歌) 7 페이지 / 전적]

하우씨의 9년 치수 때 낙수에서 나온 신구(神龜)의 등에 있었다는 글로서 '서경' 홍범구주의 기원이 되었다고 함.

낙서(洛書)[도덕가라 3 페이지 / 전적]

하우씨의 9년 치수 때 낙수에서 나온 신구(神龜)의 등에 있었다는 글로서 『서경』 홍범구주의 기원이 되었다고 함.

낙서(洛書)[역대삼재가라 5 페이지 / 전적]

중국(中國) 하(夏)나라의 우왕(禹王)이 홍수(洪水)를 다스렸을 때, 낙수(洛水)에서 나온 영묘(靈妙)한 거북의 등(等)에 쓰여 있었다는 글.

낙서지리(洛書之理)[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8 페이지 / 전적]

낙서(洛書)에 담긴 이치.

낙서지리(洛書之理)[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8 페이지 / 전적]

낙서(洛書)에 담긴 이치.

낙서지법(洛書之法)[해몽가라(몽가라) 8 페이지 / 전적]

낙서의 법도. 구미낙서(龜尾洛書)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후천팔괘의 법도를 가리킴.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