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난가(亂家)[오윤가 20 페이지 / 전적]

화목하지 못하고 싸움이나 말썽이 그치지 아니하여 소란스러운 집안.

난가산[팔역가(八域歌) 20 페이지 / 전적]

미상, 바둑 두는 재미를 이르는 말이 ‘난가’이다

난간(欄干)[고령가곡여자들등님곡이라(고령가곡여들등님곡이라) 1 페이지 / 전적]

난간(欄干). 층계(層階)나 다리ㆍ마루 따위의 가장자리를 일정(一定)한 높이로 가로 막은 물건(物件). 나무나 쇠를 가로 세로 건너 세워 놓음. 사람이 떨어지는 것을 막고 또한 장식(裝飾)으로도 삼음.

난간을 부러뜨림[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77 페이지 / 전적]

서한 성제(西漢成帝) 때 직신(直臣) 괴리영(槐里令 ) 주운(朱雲)이 성제 앞에서 칼을 청하며 간신의 머리를 베겠다고 하니 성제가 누구냐고 묻자 안창후(安昌侯) 장우(張禹)라고 하였다. 이에 성제가 크게 성내며 말하기를 ‘면전에서 나의 스승에게 욕을 하니 죽어야 마땅하다.‘ 하면서 어사(御史)에게 끌어내리도록 하였는데, 주운이 난간을 붙잡아 난간이 부러진 일이 있었다.《漢書 卷六十七》

난계(難計)[오륜가라 11 페이지 / 전적]

헤아리기 어려움.

난계(難計)[가사소리 11 페이지 / 전적]

헤아리기 어려움.

난계(亂階)[오륜가라 15 페이지 / 전적]

차례를 지키지 아니하고 거르거나 건너뜀.

난곡(鸞鵠)[송강집(松江集二)2 170 페이지 / 전적]

단정한 모습을 난정곡치(鸞停鵠峙)라 이름.

난교(鸞膠)[석천집(石川集二-五)2-5 149 페이지 / 전적]

난새의 기름으로 만든 아교. 손적(孫覿)의 시에서 ‘거문고 줄 오래도록 끊겼는데 난교로써 이를 이었다. (朱絃久靈落鸞膠續其斷)’는 시구를 연상한 것임.

난구(難求)[몽즁운동가 6 페이지 / 전적]

구하기 어려움.

난금(難禁)[회경가 2 페이지 / 전적]

금하기 어려움

난급(難及)[문슈동소챵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따라가기가 어렵다.

난기(亂記)[종매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어지러이 적어 놓다.

난기(亂記)[종매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어지러이 적어 놓음.

난난치 부모유쳬[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8 페이지 / 전적]

낱낱이 부모유체(父母遺體). 하나하나가 부모가 남겨주신 몸뚱아리.

난데없는[가야희인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갑자기 불쑥 나타나 어디서 왔는지 알 수 없는.

난데없이[추월감 1 페이지 / 두루마리]

갑자기 불쑥 나타남.

난동(亂動)[안심경찰가 4 페이지 / 전적]

질서를 어지럽히며 마구 행동함. 또는 그런 행동.

난두(欄頭)[봉션화가 4 페이지 / 전적]

난간 머리.

난리[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30 페이지 / 전적]

1555(명종 10)년에 왜구가 전라도 강진.해남.영암.진도 일대에 침구해 노략질을 자행한 사건.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