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차정(次丁)[ 1 페이지 / ]

다음 정일(丁日). 곧 매월 일진(日辰)에 두번째 드는 정일로 중정(中丁)과 같은 말. 옛날 사당의 제향을 봄에는 2월, 가을에는 8월에 지냈는데, 첫번째 정일을 초정(初丁),상정(上丁)이라 하여 문묘(文廟),향교(鄕校)에서 행사하였고, 서원(書院)이나 기타 사당에서는 중정에 행사하였다

차정(次丁)[고봉선생문집 권삼(高峰先生文集 券三) 123 페이지 / 전적]

다음 정일(丁日). 곧 매월 일진(日辰)에 두번째 드는 정일로 중정(中丁)과 같은 말. 옛날 사당의 제향을 봄에는 2월, 가을에는 8월에 지냈는데, 첫번째 정일을 초정(初丁),상정(上丁)이라 하여 문묘(文廟),향교(鄕校)에서 행사하였고, 서원(書院)이나 기타 사당에서는 중정에 행사하였다

차제(次第)[알성가(謁聖歌) 33 페이지 / 전적]

차례대로, 순서대로

차제(次第)[그리져리구경하고 5 페이지 / 전적]

차례.

차제(次第)[냥신낙사가(냥신낙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차례(次例).

차제(次第)[슈절자탄가 16 페이지 / 전적]

그 다음.

차제(次第)[냥신낙사가(냥신낙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차례(次例).

차제(次第)[슈절자탄가 16 페이지 / 전적]

그 다음.

차제도업(次第道業)[교훈가 7 페이지 / 전적]

도를 닦는 차례.

차제차제(次第次第)[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1 페이지 / 두루마리]

차례차례.

차제차제(次第次第)[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1 페이지 / 두루마리]

차례차례.

차지(次知)[회심곡 13 페이지 / 두루마리]

궁방(宮房)이나 벼슬아치의 일을 맡아보던 사람.

차지(次知)[송강집(松江集三)3 63 페이지 / 전적]

주인(主人)을 대신하여 형벌을 받는 하예(下隸).

차지견한[팔역가(八域歌) 43 페이지 / 전적]

빌린 땅을 되돌려 줌

차지다[사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야무지고 깐깐하다

차차(次次)[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30 페이지 / 전적]

어떠한 상태(狀態)가 조금씩 진행(進行)하는 모양(模樣).천천히 차례(次例)대로.차츰.

차차(次次)[연행별곡(연별곡) 20 페이지 / 전적]

어떠한 상태(狀態)가 조금씩 진행(進行)하는 모양(模樣).천천히 차례(次例)대로.차츰.

차차(次次)로[오륜가라 32 페이지 / 전적]

어떤 사물의 상태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조금씩 진행하는 모양.

차차로[선유가라 9 페이지 / 전적]

서두르지 않고 천천히.

차차차차(次次次次)[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2 페이지 / 전적]

어떤 사물의 상태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조금씩 자꾸 진행하는 모양.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