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차차차차(次次次次)[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4 페이지 / 전적]

어떤 사물의 상태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조금씩 자꾸 진행하는 모양.

차차차차(次次次次)[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2 페이지 / 전적]

어떤 사물의 상태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조금씩 자꾸 진행하는 모양.

차차차차(次次次次)[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4 페이지 / 전적]

어떤 사물의 상태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조금씩 자꾸 진행하는 모양.

차차호(嗟嗟呼)[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2 페이지 / 두루마리]

嗟呼嗟呼를 줄인 말로 한탄의 뜻인 ‘아아!’를 나타낸다.

차차호(嗟嗟呼)[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2 페이지 / 두루마리]

嗟呼嗟呼를 줄인 말로 한탄의 뜻인 ‘아아!’를 나타낸다.

차처(此處)[회혼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이곳'을 문어(文語)적으로 이르는 말.

차츰 늙어가면서 마음과 어긋나네.[석천집(石川集二-二)2-2 216 페이지 / 전적]

육유(陸游)의 시에 ‘나이가 차츰 많아지면서 젊었던 때의 마음과 어긋나지네.[年光遲暮壯心違.]‘라고 했다.

차치(且置)[권왕가 38 페이지 / 전적]

차치 물론(且置勿論)의 준말. 내버려 두고 문제 삼지 않음.

차호(嗟乎)[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1 페이지 / 두루마리]

매우 슬퍼하며 탄식할 때 쓰는 감탄사.

차호(嗟乎)[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1 페이지 / 두루마리]

매우 슬퍼하며 탄식할 때 쓰는 감탄사.

차호(嗟乎)[환무자탄가 3 페이지 / 전적]

주로 글에서, 매우 슬퍼 탄식할 때 쓰는 말.

차홉다[칠여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주로 글에서, 매우 슬퍼 탄식할 때 쓰는 말.

차효(差效)[회경가 19 페이지 / 전적]

병이 조금씩 나아지는 정도

차쳔[용문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차산천. ‘차’는 ‘두루’라는 말. 두루 산천. 산천 두루.

차쳔이[용문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차산천(此山川)이라.

착급(着急)[별한가 33 페이지 / 전적]

몹시 급함.

착급(著急)니[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3 페이지 / 전적]

착급하다. 조급하다.

착념(着念)[종매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마음에 두고 생각하는 일.

착락 錯落[ 1 페이지 / ]

뒤섞임.

착륜[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211 페이지 / 전적]

춘추 시대에 제 환공(齊桓公)에게 조박론(糟粕論)을 개진했다는 수레바퀴 공.《莊子 天道》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