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찬란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3 페이지 / 전적]

「三千 三百」- 禮記의 禮器篇에 「威儀三千 禮儀三百」의 대문이있는데 註에 「威儀는 曲禮요 禮儀는 經禮이다」라 하였음.

찬물(饌物)[팔도가 15 페이지 / 전적]

반찬거리.

찬물(饌物)[팔도가 15 페이지 / 전적]

반찬거리.

찬물(饌物)[북쳔가 25 페이지 / 두루마리]

반찬거리가 되는 것, 또는 반찬의 종류.

찬물(饌物)[김씨효행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반찬거리가 되는 것. 또는 반찬의 종류.

찬방[한양가라 84 페이지 / 전적]

추운 방.

찬성(讚聲)[동국조선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칭찬하는 말.

찬성(贊成)[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1 페이지 / 전적]

의정부에 속한 종일품 벼슬.

찬성(贊成)[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9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의정부에 속해 있던 종1품 벼슬.

찬성사(贊成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1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 문하부·첨의부·도첨의사사·도첨의부에 둔 정이품 벼슬로 시중(侍中) 또는 정승의 다음 서열이다. 충렬왕 1년(1275)에 첨의부를 두면서 평장사를 고친 것으로, 24년(1298)에 없앴다가 곧 회복하여 34년(1308)에 중호(中護)로 고쳤다.

찬소(饌蔬)[합강정가(合江亭歌) 10 페이지 / 전적]

반찬.

찬수(饌需)[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3 페이지 / 두루마리]

반찬거리.

찬수(饌需)[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3 페이지 / 두루마리]

반찬거리.

찬역(簒逆)[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4 페이지 / 전적]

임금의 자리를 빼앗으려 반역함.

찬영(讚詠)[종매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적어놓고 읊어보다.

찬운암(攢雲巖)[연행별곡(연별곡) 11 페이지 / 전적]

봉산(鳳山) 남쪽으로 5리쯤 떨어진 곳에 있는 봉우리.

찬위(簒位)[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1 페이지 / 전적]

임금의 자리를 빼앗음.

찬위(簒位)[녁대가(녁가) 32 페이지 / 전적]

임금의 자리를 빼앗음.

찬위지화(簒位之禍)[오윤가 17 페이지 / 전적]

임금의 자리를 뺏는 재앙.

찬찬(燦燦)[윤낭자영남가(윤낭영남가) 16 페이지 / 전적]

번쩍번쩍 빛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