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천지(天地)[한양가라 5 페이지 / 전적]

하늘과 땅.

천지(天地)는 만물지역려(萬物之逆旅)이요[슈절자탄가 9 페이지 / 전적]

천지는 만물을 거스르는 나그네요.

천지(天地)는 만물지역려(萬物之逆旅)이요[슈절자탄가 9 페이지 / 전적]

천지는 만물을 거스르는 나그네요.

천지(天地)로 동포(同袍)하고[한흥가라 7 페이지 / 전적]

천지를 동포로 삼고. 동포(同袍)는 두루마기를 같이 입는다는 뜻으로, 어려울 때 서로 돕는 진정한 친구를 이르는 말. 여기에서는 포은 선생의 충절이 천지와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높고 넓다는 뜻.

천지(天地)로 동포(同袍)하고[한흥가라 7 페이지 / 전적]

천지를 동포로 삼고. 동포(同袍)는 두루마기를 같이 입는다는 뜻으로, 어려울 때 서로 돕는 진정한 친구를 이르는 말. 여기에서는 포은 선생의 충절이 천지와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높고 넓다는 뜻.

천지(天地)로 동포(同袍)하고[한흥가라 7 페이지 / 전적]

천지를 동포로 삼고. 동포(同袍)는 두루마기를 같이 입는다는 뜻으로, 어려울 때 서로 돕는 진정한 친구를 이르는 말. 여기에서는 포은 선생의 충절이 천지와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높고 넓다는 뜻.

천지(天地)음양(陰陽) 시판후(始判後)[창덕가2 8 페이지 / 전적]

천지에 음과 양이 처음으로 나누어진 후에.

천지(天地)음양(陰陽) 시판후(始判後)[창덕가2 8 페이지 / 전적]

천지에 음과 양이 처음으로 나누어진 후에.

천지간 웅장한 소식[관동별곡 13 페이지 / 전적]

이백이 <등금릉봉황대>에서 묘사한 일출의 웅장한 경관.

천지간(天地間)[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하늘과 땅 사이.

천지간(天地間)[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하늘과 땅 사이.

천지간(天地間)[유회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하늘과 땅 사이.

천지간(天地間)[환무자탄가 4 페이지 / 전적]

하늘과 땅 사이.

천지간(天地間)[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30 페이지 / 전적]

하늘과 땅 사이.

천지간(天地間)[연행별곡(연별곡) 20 페이지 / 전적]

하늘과 땅 사이.

천지개벽(天地開闢)[외손별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원래 하나의 혼돈체였던 하늘과 땅이 서로 나뉘면서 이 세상이 시작되었다는 중국 고대의 사상에서 나온 말로, 천지가 처음으로 열림을 이르는 말.

천지개벽(天地開闢)[봉별가 3 페이지 / 전적]

하나의 혼돈체였던 하늘과 땅이 서로 나뉘면서 이 세상이 시작되었다는 말로, 천지가 처음으로 열림을 이르는 말.

천지개벽(天地開闢)[남은곡 권지단이라 11 페이지 / 전적]

원래 하나의 혼돈체였던 하늘과 땅이 서로 나뉘면서 이 세상이 시작되었다는 중국 고대의 사상에서 나온 말로, 천지가 처음으로 열림을 이르는 말.

천지개열(天地開裂)[낙지가 3 페이지 / 전적]

하늘과 방이 열리어 펼쳐지는 듯

천지구흔(天地俱欣)[도덕가(道德歌) 3 페이지 / 전적]

천지가 모두 기쁘고 흔쾌한 것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