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청의(靑衣)[경노의심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푸른 빛깔 옷.

청의(靑衣)[동상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푸른 빛깔의 옷.

청의(靑衣)[회혼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푸른 빛깔의 옷.

청의淸漪[ 1 페이지 / ]

맑고 잔잔한 물결.

청의도포[은삭가 11 페이지 / 전적]

도포(道袍)는 예전에 통상 예복으로 입던 남자의 겉옷. 소매가 넓고 등 뒤에는 딴 폭 을 댐.

청의도포[은삭가 11 페이지 / 전적]

도포(道袍)는 예전에 통상 예복으로 입던 남자의 겉옷. 소매가 넓고 등 뒤에는 딴 폭 을 댐.

청의동자(靑衣童子)[효행록이라(효록이라) 6 페이지 / 전적]

신선의 시중을 든다는 푸른 옷을 입은 사내아이를 말함.

청의동자(靑衣童子)[춘몽가(츈몽가) 6 페이지 / 전적]

신선의 시중을 든다는 푸른 옷을 입은 사내아이.

청의동자(靑衣童子)[춘몽가(츈몽가) 6 페이지 / 전적]

신선의 시중을 든다는 푸른 옷을 입은 사내아이.

청의홍상(靑衣紅裳)[망부가 3 페이지 / 전적]

녹의홍상(綠衣紅裳)과 같은 말로 연두저고리에 다홍치마라는 뜻.젊은 여자의 고운 옷차림을 이르는 말.

청이불문(聽而不聞)[애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들려도 듣지 못함

청이불문(聽而不聞)[교훈가 2 페이지 / 전적]

들려도 귀담아 듣지 않음.

청이불문(聽而不聞)[창덕가2 78 페이지 / 전적]

들었더라도 못 들은 것으로 함.들어도 의식하지 않음.

청이불문(聽而不聞)[창덕가2 79 페이지 / 전적]

들었더라도 못 들은 것으로 함.들어도 의식하지 않음.

청이불문(聽而不聞)[론학가권지일 13 페이지 / 전적]

청약불문(聽若不聞). 듣고도 못 들은 체함.

청이불문(聽而不聞)[론학가권지일 13 페이지 / 전적]

청약불문(聽若不聞). 듣고도 못 들은 체함.

청작(靑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44 페이지 / 전적]

「靑雀, 黃龍」-은 배의 이름. 王勃의 滕王閣序에 「舸艦迷津靑雀黃龍之舳」이란 句가 있음.

청장(淸帳)[혼행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장부(帳簿)를 청산한다는 뜻으로, 빚 따위를 깨끗이 갚음을 이르는 말.

청전(淸錢)[남산동이진사효행록(남동이진효횡녹) 12 페이지 / 전적]

청나라 쇠돈.

청전(靑田)[석천집(石川集二-三)2-3 23 페이지 / 전적]

산 이름. 절강성(浙江省) 청전현(靑田縣) 서북쪽에 있다. 당나라 때에 법선(法善)의 수도처였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