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청전세업(靑氈世業)[팔도안희가 15 페이지 / 전적]
청전(靑氈)은 청전구물(靑氈舊物)을 짧게 말하는 것으로 집안 대대로 내려온 오래된 물건을 말한다. 청전세업(靑氈世業)은 평생 글만 읽고 산 자를 말한다.
청절(淸絶)[축산별곡 8 페이지 / 전적]
더할 수 없이 깨끗함.
청절(淸絶)[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2 페이지 / 전적]
더할 수 없이 깨끗함.
청절(淸絶)[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2 페이지 / 전적]
더할 수 없이 깨끗함.
청절(淸絶)[충효가(忠孝歌) 8 페이지 / 전적]
맑고 절묘함.
청절(淸絶)하다[옥산가라 14 페이지 / 전적]
더할 수 없이 맑고 깨끗하다.
청정[한양가라 60 페이지 / 전적]
일본 장수 가등청정(加藤淸正)을 말함.
청정 계행(淸淨戒行)[권왕가 10 페이지 / 전적]
마음을 청정하게 하여 계율을 잘 지켜 닦는 일. 청정(淸淨) : 허물이나 번뇌가 없이 깨끗함.
청정(淸正)[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 페이지 / 전적]
임진왜란 때 일본장수인 가등청정(加藤淸正)을 말함.
청정(淸正)[한흥가라 62 페이지 / 전적]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의 약칭. 임진왜란 참전 당시 왜군 육군 제2진 사령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함경도 방면으로 출병하여 조선의 왕자 임해군과 순화군을 포로로 잡는 등 맹활약하였으나
청정(淸正)[한흥가라 62 페이지 / 전적]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의 약칭. 임진왜란 참전 당시 왜군 육군 제2진 사령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함경도 방면으로 출병하여 조선의 왕자 임해군과 순화군을 포로로 잡는 등 맹활약하였으나
청정(淸正)[한흥가라 62 페이지 / 전적]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의 약칭. 임진왜란 참전 당시 왜군 육군 제2진 사령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함경도 방면으로 출병하여 조선의 왕자 임해군과 순화군을 포로로 잡는 등 맹활약하였으나
청정(淸淨)[두륜산대흥사유람가(頭輪山大興寺遊覽歌) 3 페이지 / 전적]
맑고 깨끗함.
청정(淸淨)[두륜산대흥사유람가(頭輪山大興寺遊覽歌) 3 페이지 / 전적]
맑고 깨끗함.
청조(靑鳥)[사미인곡 6 페이지 / 전적]
반가운 사자(使者)나 편지를 전하는 매개.
청조(靑鳥)[상사진정몽가(相思陳情夢歌) 1 페이지 / 전적]
푸른 새. 중국 신화에 나오는 서왕모(西王母)의 사자(使者)로서 편지를 가져왔다는 고사로 연유하여, 소식을 전하는 사자를 이름.
청조(靑鳥)[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5 페이지 / 전적]
「靑鳥」―使者에게 借稱하는 말임. 漢武故事에 『七月七日 갑짜기 靑鳥가날아와 殿 앞에 모이니 東方朔은 말하기를 「이는 西王母가 오고싶어서일 것입니다」 했는데 이윽고 王母가 당도하자 세마리 靑鳥가 王母의 곁을 夾侍하였다』라 했음.
청조(靑鳥)[헌수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반가운 사자(使者)나 편지를 이르는 말.
청조(靑鳥)[헌수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반가운 사자(使者)나 편지를 이르는 말.
청조(靑鳥)[기원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반가운 사자(使者)나 편지를 이르는 말. 푸른 새가 온 것을 보고 동방삭이 서왕모의 사자라고 한 한무(漢武)의 고사에서 유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