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척당(戚黨)[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2 페이지 / 두루마리]
성이 다른 일가.
척당(戚黨)[리행소챙가 57 페이지 / 전적]
척속(戚屬)-친족이 아닌, 성이 다른 친척.
척당(戚黨)[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2 페이지 / 두루마리]
성이 다른 일가.
척두공(尺頭工)[춘몽가(츈몽가) 11 페이지 / 전적]
중국 원(元)나라 초기의 유명한 문인이자 유학자, 서화가.자는 자앙(子昻), 호는 집현(集賢) 또는 송설도인(松雪道人).절강(浙江) 출신.송설체(松雪體)의 창안자.
척두공(尺頭工)[춘몽가(츈몽가) 11 페이지 / 전적]
자.척(尺).
척려(惕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8 페이지 / 전적]
「惕厲」-易 乾의 九三에 「君子終日乾乾 夕惕若厲」라 하였는데 程傳에 「낮과 밤으로 게을리 아니하여 兢惕하면 비록 위태한 땅에 처하여도 허물이 없다」라 하였음。
척령조(鶺鴒鳥)[계녀사라 3 페이지 / 전적]
할미새. <시경> <소아>편 ‘상체(常棣)’장에 ‘鶺鴒在原 兄弟急難’이라는 시구가 있는데, 형제간에 급한 일이나 어려운 일을 당하여 서로 돕는다는 뜻으로, ‘척령’은 형제간의 우애를 비유함.
척문(尺文)[심심가(尋心歌) 33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세금 따위를 받고 내어 주던 영수증.
척문(尺文)[심심가(尋心歌) 33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세금 따위를 받고 내어 주던 영수증.
척방(陟方)[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21 페이지 / 전적]
昇遐와 같은 말로 帝王의 喪事에 쓰고 있음. 書經 舜典에 「在位五十歲 陟方乃死」라는 대문이 있음.
척부인(戚夫人)[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6 페이지 / 전적]
한(漢) 고조(高祖) 유방(劉邦)이 총애했던 비빈(妃嬪)
척부인(戚夫人)[소상팔경가 25 페이지 / 전적]
한고조 유방의 후궁.
척부인(戚夫人)[녁대가(녁가) 43 페이지 / 전적]
진(秦) 말기부터 전한 초기 사람으로 초나라 춤을 잘 추었기에 유방(한고조)을 만나 그의 측실이 되었다고 함. 유여의(劉如意)의 생모로 자신의 아들 여의(如意)를 태자로 세우려고 노력하였으나 실패함.
척사 대회(擲柶大會)[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윷놀이 하는 대회.
척사 대회(擲柶大會)[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윷놀이 하는 대회.
척사(擲柶)[당산조션가 10 페이지 / 전적]
윷놀이.
척사(擲柶)[어와따님요(어와님요) 1 페이지 / 전적]
윷놀이.
척사(擲柶)[제주여행가 20 페이지 / 두루마리]
윷놀이.
척사(擲梭)[여자석별가 2 페이지 / 전적]
윷놀이.
척사대회(擲柶大會)[여자탄 6 페이지 / 두루마리]
윷놀이 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