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천개어자(天開於子)[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0 페이지 / 전적]

하늘이 자시(子時)에 열림. 자시(子時)는 밤 11시부터 새벽 1시까지임.

천개어자(天開於子)[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0 페이지 / 전적]

하늘이 자시(子時)에 열림. 자시(子時)는 밤 11시부터 새벽 1시까지임.

천개지벽(天開地闢)[직금가라 17 페이지 / 전적]

천지개벽. 하늘과 땅이 나뉘면서 이 세상이 비로소 시작됨.

천개지벽(天開地闢)[해몽가라(몽가라) 2 페이지 / 전적]

천지개벽. 하늘과 땅이 나뉘면서 이 세상이 비로소 시작됨.천지개벽. 하늘과 땅이 나뉘면서 이 세상이 비로소 시작됨.

천개지벽(天開地闢)[해몽가라(몽가라) 3 페이지 / 전적]

천지개벽. 하늘과 땅이 나뉘면서 이 세상이 비로소 시작됨.

천게(千偈)에 하늘에서 꽃비[석천집(石川集二-一)2-1 10 페이지 / 전적]

達麻가 說法을 하자 天花가 亂墜했다는 말을 인용한 것

천견박식(淺見薄識)[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 페이지 / 전적]

얕은 견문과 좁은 지식.

천견박식(淺見薄識)[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 페이지 / 전적]

얕은 견문과 좁은 지식.

천경 만론(千經萬論)[권왕가 24 페이지 / 전적]

천만 경론(千萬經論).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천만(千萬)의 경(經)과 논(論). 경론(經論) : 부처의 말을 적은 경(經)과 이를 해석한 논(論).

천경 만론(千經萬論) 경론(經論)[셔왕가 2 페이지 / 전적]

천만경론(千萬經論). 썩 많은 경론.부처의 말을 적은 ‘경(經)’과 이를 해석한 ‘논(論)’을 이르는 말.

천계(天雞)[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21 페이지 / 전적]

「天雞」-玄中記에「東方에 桃都山이 있고 山上에 하나의 大樹가 있어 이름을 桃都라 하는데 가지가 三千里를 뻗었으며 그 위에 天雞가 있어 해가 처음 뜰때에 이 나무를 비치면 天雞가 곧 울고 천하의 닭이 따라서 운다」라 하였음.

천계(天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51 페이지 / 전적]

「天鷄」- 述異記에 「東南에 桃都山이 있고 그위에 大樹가 있어이름은 桃都인데, 가지가 서로 三千里가 떨어졌다.거기에 天鷄가 있어 해가 떠올라 이 나무에 비치면, 울며 천하의 닭이다 따라 운다」라 하였음.

천고(千古)[회경가 2 페이지 / 전적]

아주 오랜 세월 동안

천고(千古)[북쳔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아주 오랜 세월.

천고(千古)[심시천인설(尋時天人說) 4 페이지 / 전적]

아주 먼 옛날.

천고만겁(千古萬劫)[셩경가 5 페이지 / 전적]

아주 오랜 세월.

천고만겁(千古萬劫)[셩경가 5 페이지 / 전적]

아주 오랜 세월.

천고사(千古事)를 역거(歷擧)[회경가 14 페이지 / 전적]

아주 오랜 일들을 일일이 들어 나타냄

천고영결(千古永訣)[회경가 21 페이지 / 전적]

영원히 헤어지는 것을 뜻함

천고영결(千古永訣)[대동가(동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아주 오랜 세월 동안 죽은 사람과 산 사람이 서로 영원히 헤어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