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화(化)해 날 제[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5 페이지 / 전적]
이루어져 태어날 때, 혹은 생육(生育) 될 때.
화(化)해 날 제[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6 페이지 / 전적]
이루어져 태어날 때, 혹은 생육(生育) 될 때.
화(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0 페이지 / 전적]
「和而不流」- 中庸 子路問强章에 「君子和而不流 强哉矯」라 하였음
화(和)[인팔괘변역가(人八卦變易歌) 17 페이지 / 전적]
서로 뜻이 맞아 사이좋음.
화(和)[근농가(勤農歌) 2 페이지 / 전적]
서로 뜻이 맞아 사이좋음.
화(和)한 몸이[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5 페이지 / 전적]
모여 합쳐진 (모여 합쳐져 이루어진) 몸이.
화(和)한 몸이[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5 페이지 / 전적]
모여 합쳐진 (모여 합쳐져 이루어진) 몸이.
화(禍)[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46 페이지 / 전적]
1519년(중종 14) 11월에 일어 난 기묘사화(己卯士禍)를 말함. 당시 신진 사림이던 조광조(趙光祖).김정(金淨).김식(金湜).기준(奇遵).한충(韓忠).김구(金絿).박세희(朴世熹).박훈(朴薰).홍언필(洪彦弼).이자(李秕).유인숙(柳仁淑) 등이 훈구세력과 대립하다가 반정공신위훈삭제사건(反正功臣僞勳削除事件)을 계기로 하여 남곤(南袞).심정(沈貞).홍경주(洪景舟) 등의 훈구 재상에 의해 죽음을 당하거나, 귀양, 파직 당하는 등의 화를 입은 사건.
화(禍)[만수가(만슈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불운. 재앙.
화(禍)[만수가(만슈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불운. 재앙.
화가위국(化家爲國)[조심가라 11 페이지 / 전적]
한 집안이 바뀌어 국가가 됨, 왕조가 바뀐 것을 말함.
화가위국(化家爲國)[조심가라 11 페이지 / 전적]
한 집안이 바뀌어 국가가 됨, 왕조가 바뀐 것을 말함.
화각(早角)[ 1 페이지 / ]
악기의 이름인데 모양은 죽통竹筒과 비슷하다. 대나무 또는 가죽으로 만드는데 표면에 채색 그림이 있으므로 화각이라 부른다. 소리는 애절하면서도 우렁차서 군중軍中에서 병사들의 사기를 진작시키거나 진용陳容을 정돈할 때 쓴다. 혹은 왕이나 관리가 순행할 때도 쓴디.
화각(畫閣)[연행별곡(연별곡) 23 페이지 / 전적]
채색을 한 누각.
화각(畵閣)[회혼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채색을 한 누각.
화각畵角[ 1 페이지 / ]
악기의 이름 모양은 죽통竹筒과 비슷하며 대나무 또는 가죽등으로 만든다. 표면에 알록달록한 채색 그림이 있어서 화각이라 부르며 소리가 애절하면서도 우렁차 군중에서 사기를 고무하거나 진용을 정돈할때, 혹은 제왕이나 관리가 순행할 때 쓰는 관악기이다.
화간(花間)[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7 페이지 / 전적]
꽃과 꽃 사이.
화간동[팔역가(八域歌) 32 페이지 / 전적]
미상
화간동[팔역가(八域歌) 33 페이지 / 전적]
화개동의 잘못
화간의[화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꽃 가운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