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화기(火氣)[자심운수가(심운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발끈 화를 내는 증세.
화기(花氣)[만수가(만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꽃기운.
화기(花氣)[만수가(만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꽃기운.
화기만실(和氣滿室)[명궁처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사이좋고 정다운 분위기가 방안에 가득함.
화기밧게[소동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회기(和氣)밖에. ‘화기’는 온화한 기운과 마음.
화기애애(和氣靄靄)[춘화추동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온화하고 화목한 분위기가 넘쳐흐르다.
화기어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76 페이지 / 전적]
「載色載笑」―詩經 魯頌 泮水에 「載色載笑 匪怒伊敎」라는 句가 있는데 傳에 「色은 顔色이 和하다는 말이다」하였음.대개 人材를 育成함에 있어 怒하지 않고 가르침을 잘한다는 뜻임.
화기융융(和氣融融)[명륜가(明倫歌) 78 페이지 / 전적]
화목한 기운이 넘쳐흐름. 화기애애.
화기중(和氣中)에[경세가(警世歌) 4 페이지 / 전적]
화한 기운 가운데.
화기중(和氣中)에[원시가(源時歌) 2 페이지 / 전적]
화한 기운 가운데.
화기흉(和氣凶)[종매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화목한 기운이 흉해지다.
화남성(華南省)[자탄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의 화남성.
화냥한 년[회심곡 15 페이지 / 두루마리]
서방질을 하는 계집.
화단(花壇)[자치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꽃을 심기 위하여 흙을 한층 높게 꾸민 꽃밭.
화단으로 볏치난닷[형제붕우소회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화단으로 비치는 듯. ‘화단’은 천장에 치는 휘장. ‘앙장’이라고도 하며 저녁노을의 아름다운 모습을 형용하는 말인 듯함.
화담(花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23 페이지 / 전적]
「花潭」― 徐敬德의 號인데 字는 可久요, 當城人이며 父는 修義副尉 好蕃이다 어려서부터 聰明剛毅하여 絶人의 資를 지녔으며 나이 二十餘에 이르자 晝夜를 莫論하고 寒暑를 不問하고 一室에 危坐하여 삼년을 밖에 나지 않았다. 晩年에는 德이 더욱 盛하여 儼然한 師表가 되니, 四方에서 來學하는 자가 퍽으나 많았다. 父母의 命에 따라 赴擧하여 進士에 合格하였으며 自後로 山林에 晦迹하여 進取에 뜻이 없었다. 弘治已酉에 生하여 丙午七月에 花潭에서 卒하니, 壽는 五十八歲요 學者가 花潭先生이라 稱하였다. 宣祖朝에 右議政을 贈職하고 謚는 文康이라 내렸음.
화담(花潭)[석천집(石川集二-三)2-3 11 페이지 / 전적]
조선 성종,중종 때의 학자 서경덕(徐敬德). 화담(花潭,1489-1546)은 그의 호. 1531년 어머니의 요청으로 생원시에 응시하여 합격했으나 벼슬을 단념하고 개성의 동문 밖 화담(花潭)에 초막을 짓고 학문탐구에 전심하여 이기론(理氣論)의 본질을 연구했다.
화답(和答)[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시(詩)나 노래에 응하여 대답함.
화답(和答)[만수가(만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시나 노래에 대답함.
화답(和答)[만수가(만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시나 노래에 대답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