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옥산가라 41 페이지 / 전적]

정도가 매우 심하거나 큼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아주’, ‘몹시’의 뜻을 나타냄.

하 자장(賀知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35 페이지 / 전적]

「知章換酒」-賀知章은 唐永與人으로 字는 季眞인데 玄宗때에 禮部郞中이 되고 晚節에 放誕하여 號를 四明狂客이라 稱하며 드디어 道士가 되자 鏡湖一曲을 敕賜하였다. 換酒는 李白의 對酒憶賀秘監序에「太子賓客賀秘監 於長安紫極殿 一見呯 余爲謫仙人 因解金龜 換酒爲藥」이라 하였음. 金龜는 唐의 초기에는 品官이 다 魚符를 찾는데 天授二年에 魚를 고쳐 龜로 하고 三品이상을 袋飾을 金으로 하였음.

하 자평(河子平)[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56 페이지 / 전적]

平歠八年粥- 東漢人 何子平은 父母의 三年喪에 食粥하여 前後八年을 죽으로만 연명했다 하였음.

하 지장(賀知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84 페이지 / 전적]

「稽山知章」-李白의 對酒憶賀秘監의 詩가 있는데 여기는 李白과 賀知章의 交分을 빌려 자신의 처지를 슬퍼한 것임

하가(何暇)[구쟉가 12 페이지 / 전적]

어느 겨를에

하간(夏間)[셔유곡 1 페이지 / 전적]

여름의 동안.

하갈동구(夏葛冬裘)[로인가 15 페이지 / 전적]

여름의 서늘한 베옷과 겨울의 따뜻한 갖옷이라는 뜻으로, 격이나 철에 맞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하감(下瞰)[헌수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위에서 내려다봄.

하감(下瞰)[헌수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위에서 내려다봄.

하감(下瞰)[오륜가라 39 페이지 / 전적]

위에서 내려다봄.

하감(下瞰)[가사소리 39 페이지 / 전적]

위에서 내려다봄.

하감(下鑑)[한양가라 75 페이지 / 전적]

아랫사람이 올린 글을 윗사람이 봄.

하강(下降)[고분가 8 페이지 / 전적]

높은 곳에서 아래로 향하여 내려옴, 신선이 속계로 내려오거나 웃어른이 아랫자리로 내려옴.

하강(下降)[막소가(莫笑歌) 10 페이지 / 전적]

신선이 속계로 내려옴.

하강(下降)[고분가 8 페이지 / 전적]

높은 곳에서 아래로 향하여 내려옴, 신선이 속계로 내려오거나 웃어른이 아랫자리로 내려옴.

하개(荷蓋)[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36 페이지 / 전적]

「荷蓋水車」―楚辭 九歌의 河伯에『與女遊兮九河 衝風起兮橫波乘水車兮荷蓋 駕兩龍兮驂螭』라는 글구가 있음. 이는 屈原의 所作인데 대개 河伯과 더불어 함께 九河에 노니는 상황을 말한 것임.

하걸(夏桀)[역대가라(역가라) 6 페이지 / 전적]

하(夏)나라의 마지막 임금. 포악하고 황음(荒淫)하여 성탕(成湯)이 정벌하여 명조(鳴條)에서 물리쳐 남소(南巢)로 추방했다

하걸(夏桀)[론학가권지일 10 페이지 / 전적]

중국 하(夏)의 걸왕(桀王).

하걸(夏桀)[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9 페이지 / 전적]

하(夏)나라의 걸왕(桀王). 걸(桀)은 하나라의 마지막 왕으로 매우 포악무도(暴惡無道)하여, 탕왕에 의해 토벌되었음.

하걸(夏桀)[론학가권지일 10 페이지 / 전적]

중국 하(夏)의 걸왕(桀王).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