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良非(양비)[분재기(分財記) 1 페이지 / 두루마리]

어질이, 어질비. 한자 “良”(어질 양)의 훈에 의한 차자에 인명접미사 “〜非”를 첨기하여 호칭한 계집종 이름의 표기이다. 良伊, 良孫, 良介----등과 같은 계열의 이름이다. 뒤 음절의 한자 “非”는 〜伊, 〜介, 〜孫 등과 같이 인명에 자주 차자된 대표적인 접사인데, 특히 종의 호칭에 관용된 여성 인명 접미사로 지적된다. (주 12, 45, 51, 81 참조)

年年이[친목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해마다.

廉溪(염계)[인택가(仁宅歌) 4 페이지 / 전적]

염계(濂溪)의 잘못된 표기다. 송나라 주돈이(周敦頤)를 가리킨다. 영도현(營道縣) 렴계(濂溪) 가에서 살았기 때문에 염계선생(濂溪先生)이라 불린다. 정호 정이가 모두 그의 제자이다.

念佛信聽(염불신청)[제오몽환가(第五夢幻歌) 10 페이지 / 전적]

염불의 효험을 믿고 실천하여 따른다는 말.

靈山[용화출세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靈鷲山의 준말. 석가가 성불한 후에 설법하던 신령한 산.

禮孫(예손)[분재기(分財記) 3 페이지 / 두루마리]

예의바른 후손, 또는 그러한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 의도에서 부른 사내종 이름의 표기이다. “예”(禮)는 오상(五常)의 하나이므로 이는 인륜을 뜻이 반영된 이름이라 하겠다.

龍華極樂[용화출세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인간의 차별이 없고 고통이 없는 세계.

龍華道[용화출세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미륵의 세계.인간의 수명이 천세가 넘고 기화요초에 금그릇을 사용하며, 수정 연못, 황금 열매가 열리는 세상. 사나운 마음이 없고 인심이 고르며 차별이 없는 세상.

龍長穴拙(용장혈졸)[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3 페이지 / 전적]

용세는 좋으나 혈(穴)은 너무 작고 좁음.

六甲神將(육갑신장)[십보가(十步歌) 4 페이지 / 전적]

신장이름. 둔갑술을 부리는 귀신.

六軍丁兵(육군정병) 면(免)소야[정종대왕권학가(正宗大王勸學歌) 11 페이지 / 전적]

육군의 군인을 면하겠는가. 평범한 장정이나 병사가 된다는 말.

六韜三略(육도삼략)[십보가(十步歌) 3 페이지 / 전적]

진(秦)나라 때 은사(隱士)인 황석공(黃石公)이 지었다는 병서(兵書).

隆慶(융경)[분재기(分財記)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명나라 목종(穆宗) 때의 연호, 1567〜1572.

李今(이금)[분재기(分財記) 1 페이지 / 두루마리]

한자 “李”(오얏 리)의 음차자로 작명된 계집종의 이름이다. 李金, 李代, 李同, 李丹----등은 접미사의 표음만 달리 하였을 뿐 같은 계열의 노비명이다. 따라서 “〜今”은 銀今, 永今, 春今, 香今, 同叱今----등 차용 빈도가 높은 인명 접미사의 대표적인 차용자이다. 동음이자인 “〜金”과도 호용하는 등 인명 접미사로서의 용례는 다양하지만, “〜今”은 특히 여성명에 관용된 차자임을 알 수 있다. (주 47, 206, 237 참조)

李分(이분)[분재기(分財記) 1 페이지 / 두루마리]

이뿐, 이뿌니. 예쁘게 생긴 얼굴이나 몸짓을 찬양한 데서 연유한 계집종 이름의 음차 표기이다. 구어에서는 지방에 따라 모음절의 변이(變異)로 예→이, 또는 쁘→뿌 등 ㅣ모음화와 원순음화(圓脣音化) 현상이 이는 구어를 듣는다. “예쁘다”가 “이뿌다”로 통용됨은 그같은 이유 때문이다. “이뿐”은 그 관형사형인데, 인명으로 채택되면서 명사형으로 호칭되었으니, 그에 대한 음차 표기가 곧 “李分”이다. 따라서 한자 “分”은 국어의 이두에서도 分乙(뿐을), 分以(

李石(이석)[분재기(分財記) 3 페이지 / 두루마리]

이돌이, 이도리. 무당들이 “돈”을 일러 말하는 “이도리”를 인명의 호칭으로 삼은 노비명의 음차자이다. 한자 “李”(오얏 리)의 독음과 “石”(돌 석)의 훈을 빌어서 표기한 것이다. 인명의 차자에 대표적으로 관용하던 “石”은 음차보다 훈차의 경우가 많은데, 인명에서는 1자 표기로서의 “石”보다 “石乙”의 2자 표기가 많음은 물론, 그것은 또 인명의 접미사로서의 첨기가 더 우세한 편이다. 따라서 이곳 이름의 “石”은 그 훈과 상관없이 “돌”, 또는 “도리

李舜臣장군[친목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임진왜란 때의 명장. 남해대교가 있는 노량해전에서 전사함.

林代(임대)[분재기(分財記) 3 페이지 / 두루마리]

수풀, 숲대. 한자 “林”(수풀, 더북더북할 림)의 훈을 취하여 거기에 인명 접속사를 접속시켜 호칭한 계집종 이름의 표기인 듯하나 속단하기 어렵다. 뒤 음절에 차자되어 표기된 “代”의 용례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다.(주 339 참조)

諸葛孔明(제갈공명)[김진사최유가라(金進士催遊歌라) 4 페이지 / 전적]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정치가인 제갈량(諸葛亮)을 말함.뛰어난 군사 전략가로 유비를 도와 오(吳)나라와 연합하여 조조(曹操)의 위(魏)나라 군사를 대파하고, 파촉(巴蜀)을 얻어 촉한을 세웠음.유비가 죽은 후에 무향후(武鄕侯)로서 남방의 만족(蠻族)을 정벌하고, 위나라 사마의와 대전 중에 병사하였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