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3,953개

목마(木馬)[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18 페이지 / 전적]

과거에 합격하는 이.

목마른 이 물을 주어[회심곡 12 페이지 / 두루마리]

『교주가곡집(校註歌曲集)』에 실린 <회심곡>의 이본에는 ‘목마른 이 물을 주어 汲水功德 하얏느냐’로 전하는바, 가사의 문맥으로 보아 더 합당하다.

목맹(目盲)[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24 페이지 / 전적]

눈이 멀다. 봉사가 된다.

목멱(木覓)[관동별곡 15 페이지 / 전적]

서울 남산의 본래 이름. 여기서는 임금이 계신 곳.

목멱산(木覓山)[로인가 17 페이지 / 전적]

남산의 옛 이름.

목명(木命)[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19 페이지 / 전적]

인생(寅生)이나 묘생(卯生).

목목(穆穆)[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8 페이지 / 전적]

「穆穆」- 深遠의 뜻임. 詩經 大雅 文王에「穆穆文王 於緝熙敬止」라 하였음.

목목(穆穆)[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46 페이지 / 전적]

「穆穆」-深遠의 뜻임. 詩經 大雅 文王篇에「穆穆文王」의 句가 있음.

목목(穆穆)[황남별곡(黃南別曲) 5 페이지 / 전적]

용모와 태도가 아름답고 성한 모양.

목몰나[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5 페이지 / 전적]

목말라. 목이 말라.

목부사(牧府使)[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9 페이지 / 전적]

목사와 부사를 아울러 이르던 말.

목불시악색(目不視惡色)[해몽가라(몽가라) 14 페이지 / 전적]

눈으로는 나쁜 빛을 보지 않음.

목불시악색(目不視惡色)[도덕가 5 페이지 / 전적]

눈으로 악한 빛을 보지 않음.

목불시악색(目不視惡色)[흥비가 1 페이지 / 전적]

눈으로 악한 빛을 보지 않음.

목불식정(目不識丁)[민탄가(民歎歌) 9 페이지 / 전적]

일자무식(一字無識).

목불인견(目不忍見)[자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눈앞에 벌어진 상황 따위를 눈뜨고는 차마 볼 수 없음.

목사(牧使)[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1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에, 지방 행정 단위의 하나인 목에 파견되던 지방관.

목산(木山)[ 1 페이지 / ]

목산은 담양군 월산면의 옛이름인데 고면高面으로 불리다가 월산月山으로 고쳐 졌다

목산(木山)에 이괘(離卦)[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41 페이지 / 전적]

풍천소축괘(風天小蓄卦).

목산감괘(木山坎卦)[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6 페이지 / 전적]

주역의 괘 이름.목산갑(木山甲)을 풀이하면 뇌산소과괘(雷山小過卦).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