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3,953개

목피자(牧皮子)[붕우츠회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목피자(牧皮子)

목피자(牧皮子)[도덕구가 3 페이지 / 전적]

목피자(牧皮子)

목하(目下)[답사향곡(답향곡) 6 페이지 / 전적]

눈앞의 형편 아래.바로 지금.곧

목호룡(睦虎龍)[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1 페이지 / 전적]

조선 후기 경종 때의 지관(地官). 신임사화의 빌미를 제공했다. 1722년 소론에 가담, 노론 김창집 등이 경종 시해를 역모하였다고 고변했다. 이에 4대신을 비롯한 노론이 숙청되었다.

목화산(木火山)이 곤괘(坤卦)[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32 페이지 / 전적]

택수인(澤水因).

목후(沐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59 페이지 / 전적]

「沐猴」― 獼猴임. 項羽가 關中을 버리고 東歸하고자 하니 說者는 말하기를 「人言礎人沐猴而冠耳 果然」이라 했음.

몬여[셕별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모녀의 잘못된 표기.

몬여와 형숙질[형제붕우소회가라 13 페이지 / 두루마리]

못내와 형제숙질. 못내 형제숙질이.

몰각자(沒覺者)[창덕가2 10 페이지 / 전적]

깨닫지 못한 사람.

몰각자(沒覺者)[창덕가2 10 페이지 / 전적]

깨닫지 못한 사람.

몰계(沒階)를 다 하시는[사군가(事君歌) 6 페이지 / 전적]

층계를 다 내려서서는.

몰몰(沒沒)한 지각자는[도덕가 3 페이지 / 전적]

아주 몰지각한 사람은.

몰몰한 지각자는[도슈샤 5 페이지 / 전적]

몰지각한 사람은.

몰수이[오륜가라 35 페이지 / 전적]

있는 수효대로 모두 다.

몰신(沒身)[경명가(敬命歌) 8 페이지 / 전적]

목숨이 다하기까지의 동안. 또는 일생을 마침.

몰신(沒身)[광애가(廣愛歌) 2 페이지 / 전적]

목숨이 다하기까지의 동안. 또는 일생을 마침.

몰은자리 너를 쥬고[역대가라(역가라) 11 페이지 / 전적]

마른 자리 너를 주고.

몰은자리 너를 쥬고[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2 페이지 / 전적]

마른 자리 너를 주고.

몰현금(沒絃琴)[나웅하상토굴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줄이 없는 거문고라는 뜻으로 무공적(無孔笛)과 마찬가지로 깨달음의 경지를 나타내는 말. 줄없이 거문고를 켤 수 없듯이 깨달음의 경지를 말이나 그림 또는 생각으로 표현해낼 수 없음을 뜻하는 말이다. 불립문자(不立文字)와 같은 말.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85 페이지 / 전적]

「俟命」- 孟子 盡心篇에 「殀詩不貳 修身以俟之 所以立命也」라하였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