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무(無)하야[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8 페이지 / 전적]
무살(無煞)하여. 살(煞)은 사람을 헤치는 독한 기운.
무(無)하야[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8 페이지 / 전적]
무살(無煞)하여. 살(煞)은 사람을 헤치는 독한 기운.
무(無)하야[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무살(無煞)하여. 살(煞)은 사람을 헤치는 독한 기운.
무(無憂)[태평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걱정 근심이 없음.
무(無雩)[궁장가(宮墻歌) 6 페이지 / 전적]
무우(舞雩)의 잘못된 표현으로 보이며, 기우제를 지내는 곳을 말한다.
무가(無家)하며 무의(無衣)한들[대효가(大孝歌) 5 페이지 / 전적]
집이 없고 옷이 없은들.
무가(無家)하며 무의(無衣)한들[사군가(事君歌) 1 페이지 / 전적]
집이 없고 옷이 없은들.
무가내(無可奈)[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26 페이지 / 전적]
어쩔 수 없다.
무가내(無可奈)[노졍긔 28 페이지 / 전적]
막무가내.
무가내(無可奈)[해몽가라(몽가라) 12 페이지 / 전적]
도무지 융통성이 없고 고집이 세어 어찌할 수 없음. ‘막무가내’와 같은 말.
무가내(無可奈)[노졍긔 28 페이지 / 전적]
막무가내.
무가내(無可奈)[몽즁운동가 7 페이지 / 전적]
도무지 융통성이 없고 고집이 세어 어찌할 수 없음. ‘막무가내’와 같은 말.
무가내(無可奈)[한흥가라 81 페이지 / 전적]
막무가내(莫無可奈). 도무지 융통성이 없고 고집이 세어 어찌할 수 없음.
무가내(無可奈)[한양가라 79 페이지 / 전적]
어찌할 수 없다.
무가내(無可奈)[교훈가 4 페이지 / 전적]
가히 어찌할 수가 없음. 무가내하(無可奈何). 막무가내(莫無可奈).
무가내(無可奈)[안심가 3 페이지 / 전적]
가히 어찌할 수가 없음.
무가내(無可奈)[용담가 4 페이지 / 전적]
가히 어찌할 수가 없음.
무가내(無可奈)[몽중노소문답가(夢中老少問答歌) 5 페이지 / 전적]
어찌할 수가 없음.
무가내(無可奈)[권학가 3 페이지 / 전적]
어찌할 수가 없음.
무가내(無可奈)[자심운수가(심운수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굳게 고집을 하여 어찌할 수가 없음. 莫無可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