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3,953개

무극도(無極道)[막소가(莫笑歌) 14 페이지 / 전적]

무극의 도, 무극이란 우주의 가장 근원적이며 형체도 모양도 없는 본체, 만물의 본질인 궁극자(窮極者)의 무형(無形)한 측면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무극은 양을 머금어[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46 페이지 / 전적]

주렴계 (周濂溪)는 ‘무극이면서 태극 (太極)이다.‘했고 소강절 (邵康節 )은 ‘무극의 앞에 음이 양을 머금고 상이 생긴 후에는 양이 음을 나누니 음은 양의 어머니이고 양은 음의 아버지다.‘ 하였는데, 여기서 무극이 양을 머금었다 함은 소강절의 뜻이며 동지에 일양 (一陽)이 생기기 전의 순곤 (純坤) 시기를 무극으로 표현한 것이다.《周易總目》《性理大全》

무극지운(無極之運)[용담가라 7 페이지 / 전적]

후세 5만년의 개벽운세. 무극대도의 운세.

무근 설화[창덕가2 33 페이지 / 전적]

근거없는 이야기.

무근 설화[창덕가2 34 페이지 / 전적]

근거없는 이야기.

무근설화(無根說話)[경화가(警和歌) 38 페이지 / 전적]

근거 없는 말. 헛소문.

무근설화(無根說話)[경화가(警和歌) 38 페이지 / 전적]

근거 없는 말. 헛소문.

무근설화(無根說話)[교훈가 9 페이지 / 전적]

근거 없는 이야기.

무근소음 여룬옷[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3 페이지 / 전적]

묵은 솜 엷은 배옷. 해묵은 솜과 엷은 배옷.

무근수(無根水)[금강산유람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깊은 산중에 새로 우묵히 팬 땅에 괸 물. 그 성질이 움직이지 않고 흙 기운이 있으므로 비위조절(脾胃調節)·진식(進食)·보익(補益)의 약제를 달이는 데 쓰임. 요수(潦水).

무근풀을 뉘빌소야[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8 페이지 / 전적]

묵은 풀을 뉘벨소냐. 해묵은 풀을 누가 베겠느냐.

무기토(戊己土)[신정도덕가 1 페이지 / 전적]

천간(天干)에서 무기는 오행(五行)의 토(土)에 속한다.

무남독녀(無男獨女)[사향가라 16 페이지 / 전적]

아들이 없는 집안의 외동딸.

무내하(無奈何)[명륜가(明倫歌) 30 페이지 / 전적]

어찌할 수 없음.

무너질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11 페이지 / 전적]

「頺連」―頺는 頺落의 頺요、 連은 顚連의 連인데 즉 하늘이 무너진다는 뜻임。

무녀 불러[착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무당(巫堂). 원시적 샤마니즘인 민속신앙에서 귀신을 섬겨 길흉을 점치고 굿을 하는 신녀(神女). 선악의 정령(精靈)과 직접 통하여 인간의 재앙을 제거할 수 있는 신비한 힘을 가진 사람으로 일반적으로 세습무당(世習巫堂)과 강신무당(降神巫堂)으로 나누어진다

무녀화랑(巫女花郞)[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무녀와 행실이 좋지 않은 노는계집. 화랑(花郞)은 화랑(花娘)의 잘못으로 보인다. 화랑(花郞)은 신라시대의 화랑도를 말한다.

무녀화랑(巫女花郞)[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무녀와 행실이 좋지 않은 노는계집. 화랑(花郞)은 화랑(花娘)의 잘못으로 보인다. 화랑(花郞)은 신라시대의 화랑도를 말한다.

무녀화랑(巫女花郞)[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1 페이지 / 전적]

무녀와 행실이 좋지 않은 노는계집. 화랑(花郞)은 화랑(花娘)의 잘못으로 보인다. 화랑(花郞)은 신라시대의 화랑도를 말한다.

무늬버들[회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버드나무의 하나. 줄기와 잎이 꼬불꼬불하고 아름다운 무늬가 있으며 나무의 질이 단단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