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3,953개

문장명필(文章名筆)[장씨부인역사라 7 페이지 / 전적]

문장을 잘 짓는 사람과 글씨를 잘 쓰는 사람.

문장재사(文章才士)[옥설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문장에 재주 있는 선비.

문장재사(文章才士)[칠여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뛰어난 문장실력을 갖고 있는 재주 있는 선비.

문장재사(文章才士)[옥산가라 4 페이지 / 전적]

글을 뛰어나게 잘 짓는 재주가 있는 선비.

문재(文才)[ 1 페이지 / ]

문필의 재능. 글재주

문재(文才)[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7 페이지 / 전적]

문필의 재능. 글재주

문적(文籍)[옥설가라 11 페이지 / 전적]

책.

문적(文籍)[팔도가 16 페이지 / 전적]

공문서.

문적(文籍)[팔도가 16 페이지 / 전적]

공문서.

문전(門前)[몽별가라 12 페이지 / 두루마리]

문의 앞쪽.

문전(門前)[몽별가라 12 페이지 / 두루마리]

문의 앞쪽.

문전걸객(門前乞客)[종매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문 앞에서 의관을 갖추고 다니면서 얻어먹는 사람.

문전걸식(門前乞食)[추월감 1 페이지 / 두루마리]

이 집 저 집 돌아다니며 빌어먹음.

문전걸식(門前乞食)[시절가 10 페이지 / 전적]

이 집 저 집 돌아다니며 빌어 먹음.

문전걸식(門前乞食)[막소가(莫笑歌) 10 페이지 / 전적]

이 집 저 집 돌아다니며 빌어먹음.

문전광야(門前廣野)[사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대문 앞 너른 들에

문정[팔역가(八域歌) 31 페이지 / 전적]

문정왕후, 곧 중종의 왕비

문정(問情)[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4 페이지 / 전적]

조선 후기에 외국의 배가 처음으로 항구에 들어왔을 때나 외국인이 표류하여 왔을 때 관리를 보내어 그 사정을 알아보던 일.

문정(門庭)[숙덕부인도덕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대문이나 중문 안에 있는 뜰.

문정왕후(文定王后)[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8 페이지 / 전적]

조선 중종의 계비(繼妃)(1501~1565). 성은 윤(尹). 중종 12년(1517)에 왕비에 책봉되었으며, 아들 명종이 12세 때 왕위에 오르자 대신 정치를 맡아 권력을 잡았으며 동생 윤원형과 함께 을사사화를 일으켰다. 승려 보우를 가까이하여 불교의 부흥을 꾀하였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