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3,953개

물약자효(勿藥自效)[흥비가 1 페이지 / 전적]

약을 쓰지 않고 저절로 효험을 봄.

물약자효(勿藥自效)[창덕가2 75 페이지 / 전적]

약을 쓰지 않았는데 저절로 나음.

물약자효(勿藥自效)[창덕가2 76 페이지 / 전적]

약을 쓰지 않았는데 저절로 나음.

물역(勿逆)[자직가(子職歌) 6 페이지 / 전적]

거스르지 아니함.

물역(勿逆)[경명가(敬命歌) 2 페이지 / 전적]

거스르지 아니함.

물오동포(物吾同胞)[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9 페이지 / 전적]

만물은 천지의 입장에서 보면 모두 같은 동포이다. 北宋시대 철학자 張橫渠가 지은

물외사(物外事)[이회심곡(二回心曲) 3 페이지 / 전적]

구체적인 현실 세계의 바깥 세상일.

물외인(物外人)[자책가(가) 3 페이지 / 전적]

번잡한 세상 물정을 벗어나 지내는 사람.

물외협경(物外狹徑)[사친가1(思親歌(一)) 7 페이지 / 전적]

세상 밖의 좁은 길. 이곳 표제의 ‘狹徑’은 이에 대한 가사 원문 표기에 ‘俠經’으로 되어 있음.

물외협경(物外狹經)[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띠끌 세상 밖의 좁은 길. 성인의 길이 아닌 이단의 길.

물외협경(物外狹經)[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띠끌 세상 밖의 좁은 길. 성인의 길이 아닌 이단의 길.

물요여[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5 페이지 / 전적]

무료(無聊)하여.

물욕(物慾)[ 1 페이지 / ]

돈이나 물건을 탐내는 마음.

물욕(物慾)[자경별곡(自警別曲) 2 페이지 / 전적]

돈이나 물건을 탐내는 마음.

물욕(物慾)[오륜가라 43 페이지 / 전적]

재물을 탐내는 마음.

물욕(物慾)[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3 페이지 / 전적]

재물을 탐내는 마음.

물욕(物慾)[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16 페이지 / 전적]

돈이나 물건(物件)에 대(對)한 욕심(慾心).

물욕(物慾)[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16 페이지 / 전적]

돈이나 물건(物件)에 대(對)한 욕심(慾心).

물욕(物慾)[대비훈민가 10 페이지 / 전적]

돈이나 물건(物件)에 대(對)한 욕심(慾心).

물욕(物慾)[육자박이 7 페이지 / 전적]

돈이나 물건(物件)에 대(對)한 욕심(慾心).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