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문필(文筆)[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9 페이지 / 전적]
중국 육조(六朝) 때까지의 한시와 한문, 심경을 읊은 운문을 문(文), 조리(條理)를 설(說)하되 운문이 아닌 것을 필(筆)이라 함.
문필(文筆)[한흥가라 5 페이지 / 전적]
글을 짓거나 글씨를 쓰는 재간.
문필(文筆)[한흥가라 22 페이지 / 전적]
글을 짓거나 글씨를 쓰는 일.
문필(文筆)[한흥가라 5 페이지 / 전적]
글을 짓거나 글씨를 쓰는 재간.
문필(文筆)[한흥가라 22 페이지 / 전적]
글을 짓거나 글씨를 쓰는 일.
문필(文筆)[한흥가라 5 페이지 / 전적]
글을 짓거나 글씨를 쓰는 재간.
문필(文筆)[한흥가라 22 페이지 / 전적]
글을 짓거나 글씨를 쓰는 일.
문필(文筆)[한양가라 3 페이지 / 전적]
글쓰기와 글짓기를 잘하는 재주.
문필(文筆)[긔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글과 글씨를 아울러 이르는 말. 글을 짓거나 글씨를 쓰는 일.
문필(文筆)[옥산가라 57 페이지 / 전적]
글을 짓거나 글씨를 쓰는 일.
문필(文筆)[답긔슈가 7 페이지 / 전적]
글을 짓거나 글씨를 쓰는 일.
문필(文筆)[회조가 1 페이지 / 전적]
글을 짓거나 글씨를 쓰는 일.
문필봉(文筆峰)[옥설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문필봉은 전국적으로 발견되는 지명으로 문필봉은 산의 모양이 붓끝처럼 뾰족할 때 주로 불리는 지명.
문하(門下)[ 1 페이지 / ]
학문의 가르침을 받는 스승의 아래.
문하(門下)[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0 페이지 / 전적]
학문의 가르침을 받는 스승의 아래.
문하성(門下省)[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8 페이지 / 전적]
고려시대에, 중앙 의정 기관의 하나인 내사문하성을 이르던 말로 왕명의 출납과 중신(重臣)의 탄핵을 맡아보았으며 으뜸 벼슬은 시중이었다.
문하시중(門下侍中)[한흥가라 11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에, 중서문하성의 종일품 으뜸 벼슬
문하시중(門下侍中)[한흥가라 11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에, 중서문하성의 종일품 으뜸 벼슬
문하시중(門下侍中)[한흥가라 11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에, 중서문하성의 종일품 으뜸 벼슬
문하시중(門下侍中)[한양가라 9 페이지 / 전적]
조선 전기 때 정일품 벼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