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맏동서(맏同壻)[화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큰아주버니의 아내 또는 큰처형의 남편.

맏자부(子婦)[초원동낙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맏며느리.

맏자부(子婦)[초원동낙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맏며느리.

맏집[회혼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집안의 맏이가 사는 집.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9 페이지 / 전적]

「蹄輪」―蹄는 馬蹄요 輪은 車輪으로 곧 車馬를 變稱한 것임.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27 페이지 / 전적]

「脉脉」- 머금은 情을 뱉고자함을 이름. 古詩에「脉脉不得語」가 있음

[초원동낙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고누나 윷놀이 따위를 할 때 말판에서 정해진 규칙에 따라 옮기는 패.

[초원동낙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고누나 윷놀이 따위를 할 때 말판에서 정해진 규칙에 따라 옮기는 패.

[우미인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부피의 단위. 곡식이나 액체 등의 분량을 재는데 쓰는 도구.

말(末)은 본(本)을 이길 수 없느니라[삼강오륜가 서 5 페이지 / 전적]

말불가이승본(末不可以勝本).

말가시고[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펼치시고.

말가시고[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펼치시고.

말고삐에 먼지 일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04 페이지 / 전적]

杜甫 廲人行에 「黃門飛鞚不動塵 御厨繹絡送八珍」의 句가 있음.

말과 행실을 살피고 반성하는데[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51 페이지 / 전적]

고언 고행(顧言顧行)을 이름.

말국가[북쳔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여기서는 말갈국(靺鞨國)을 가리킴.

말근치며 성을내고[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3 페이지 / 전적]

말 그치며 성을 내고. 말하지 않고 성을 내며.

말기(末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57 페이지 / 전적]

「末技」-文藝을 말함 德行이 本이 되고 文藝는 末이라는 뜻임.

말년(末年)[츅친서라 10 페이지 / 전적]

일생의 마지막 무렵.

말떼들[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57 페이지 / 전적]

「駉駉」― 詩經 魯頌 駉章에 「駉駉牡馬 在坰之野」라는 句가 있는데, 註에「駉駉은 말의 腹幹이 肥壯함을 이름이다」라 하였음

말뚝잠[후원초당 봄이듯이 6 페이지 / 두루마리]

꼿꼿이 앉은 채로 자는 잠.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