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망명죄인(亡命罪人)[이화가젼 4 페이지 / 전적]
죄를 면하기 위하여 외국으로 망명도주한 죄인.
망미기(忘未記)[옥산가라 46 페이지 / 전적]
잊어버려 기록을 못함.
망미인혜(望美人兮)[무제(▩▩▩▩) 1 페이지 / 두루마리]
미인을 바라보다.
망미인혜(望美人兮)[무제(▩▩▩▩) 1 페이지 / 두루마리]
미인을 바라보다.
망민(罔民)[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48 페이지 / 전적]
「罔民」-백성에게 罪網을 쳐 놓고 일부러 걸려들게 하는 격이란 말임. 罔은 網과 같음. 孟子 梁惠王에「及陷於罪 然後從而刑之 是罔民也」라 했다.
망민인혜천일방(望美人兮天一方)[연행별곡(연별곡) 7 페이지 / 전적]
“미인을 바라봄이여 하늘 한 끝이로다.” 소동파(蘇東坡)의 「적벽부(赤壁賦)」에 나오는 구절.
망발(妄發[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10 페이지 / 전적]
①그릇되게 하여 자신(自身)에게나 조상(祖上)에게 욕이 되는 말이나 행동(行動) ②자신(自身)에게나 조상(祖上)에게 욕이 되는 말이나 행동(行動)을 함.
망발(妄發[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10 페이지 / 전적]
①그릇되게 하여 자신(自身)에게나 조상(祖上)에게 욕이 되는 말이나 행동(行動) ②자신(自身)에게나 조상(祖上)에게 욕이 되는 말이나 행동(行動)을 함.
망발(妄發)[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7 페이지 / 전적]
말이나 행동을 잘못하여 자신이나 조상을 욕되게 함.
망발(妄發)[대비훈민가 4 페이지 / 전적]
①그릇되게 하여 자신(自身)에게나 조상(祖上)에게 욕이 되는 말이나 행동(行動) ②자신(自身)에게나 조상(祖上)에게 욕이 되는 말이나 행동(行動)을 함.
망발(妄發)[후원초당 봄이듯이 9 페이지 / 두루마리]
망령이나 실수로 그릇된 말이나 행동을 함.
망발(妄發)[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8 페이지 / 전적]
①그릇되게 하여 자신(自身)에게나 조상(祖上)에게 욕이 되는 말이나 행동(行動) ②자신(自身)에게나 조상(祖上)에게 욕이 되는 말이나 행동(行動)을 함.
망부석(望夫石)[초한가(楚漢歌) 5 페이지 / 전적]
아내가 멀리 떠난 남편을 기다리다가 죽어서 화석이 되었다는 전설의 돌, 또는 그 위에서 기다렸다는 돌을 말한다. 망부석 전설은 한국의 여러 지방에 전하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신라 눌지왕(訥祗王) 때 박제상(朴堤上)의 아내에 대한 전설이 있다. 박제상이 일본에 볼모로 있는 왕자를 구출하고 자신은 체포되어 죽음을 당하여 돌아오지 않자, 그의 아내는 수릿재[치술령(鵄述嶺)]에 올라가 높은 바위 위에서 멀리 왜국을 바라보며 통곡하다가 그대로 돌부처가 되어 수릿재 신모(神母)가 되었고, 그 바위를 뒷날 사람들이 망부석이라 불렀다.
망부석(望夫石)[후원초당 봄이듯이 5 페이지 / 두루마리]
정조를 굳게 지키던 아내가 멀리 떠난 남편을 기다리다 그대로 죽어 화석이 되었다는 전설적인 돌. 또는 아내가 그 위에 서서 남편을 기다렸다는 돌.
망부지한(亡夫之恨)[리행소챙가 52 페이지 / 전적]
남편과 사별한 회한.
망부한(亡夫恨)[별한가 7 페이지 / 전적]
남편을 여읜 한(恨).
망사(忘死)하고[심심가(尋心歌) 51 페이지 / 전적]
망사생(忘死生)하고. 죽고 사는 것을 돌아보지 아니하고.
망사(忘死)하고[심심가(尋心歌) 51 페이지 / 전적]
망사생(忘死生)하고. 죽고 사는 것을 돌아보지 아니하고.
망석중[거창가 30 페이지 / 전적]
망석중 놀이의 주인공인 파계승을 말함.
망석중[거창가 30 페이지 / 전적]
망석중 놀이의 주인공인 파계승을 말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