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명도(明道)[퇴계선생등루가(退溪先生登樓歌) 2 페이지 / 전적]
중국 북송(北宋)의 유학자 정호(程顥)의 호.
명도(明道)[사친가1(思親歌(一)) 7 페이지 / 전적]
중국 송(宋)나라 정호(程顥)의 호. 정호(程顥) : 중국 북송(北宋)의 유학자. 자는 백순(伯淳), 호는 명도(明道). 정이(程頤)의 형으로 성리학의 기초를 닦았음.
명도(明道)[권션지로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북송의 유학자 정호(程顥). 정호의 아우 이(頤)가 형의 묘에다 ‘明道先生’이라고 기록한 데서 나온 말.
명도(明道)[송강집(松江集一)1 117 페이지 / 전적]
송(宋)나라 유현(儒賢)으로 이름은 호(顥)임.
명도(明道)[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03 페이지 / 전적]
「明渡豊草」― 程顥의 字는 伯淳이요 河南人인데 宋朝六君子의 一人으로 學者가 明道先生이라 稱하였음 先生은 일찌기 造化의 生意를 보고자하여 窓前의 盛한 풀이 섬돌을 덮도록 두고 또 萬物自得의 뜻을 보고자하여 盆池에 川魚 두어마리를 길렀
명도(明道)[숙덕부인도덕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북송의 유학자 정호(程顥)의 아호. 자는 백순(伯淳)이며 아우 이천(伊川)과 더불어 이정자(二程子)라고 칭함.
명도(明道)[궁장가(宮牆歌) 6 페이지 / 전적]
북송(北宋)의 학자 정호(程顥)의 호.
명도(明道)[궁장가(宮牆歌) 6 페이지 / 전적]
북송(北宋)의 학자 정호(程顥)의 호.
명도(明道)[신정도덕가 8 페이지 / 전적]
중국 북송(北宋) 중기의 유학자. 자는 백순(伯淳). 호는 명도(明道). 시호는 순(純). 허난성[河南省] 뤄양[洛陽] 출생. 존칭으로 ‘명도선생’이라 불리고, 동생 정이(程? : 伊川)와 함께 이정자(二程子)로 부름.
명도(明道)[붕우츠회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북송(北宋) 중기의 유학자. 자는 백순(伯淳). 호는 명도(明道). 시호는 순(純). 허난성[河南省] 뤄양[洛陽] 출생. 존칭으로 ‘명도선생’이라 불리고, 동생 정이(程頤 : 伊川)와 함께 이정자(二程子)로 부름.
명도(明道)[도덕구가 3 페이지 / 전적]
중국 북송(北宋) 중기의 유학자. 자는 백순(伯淳). 호는 명도(明道). 시호는 순(純). 허난성[河南省] 뤄양[洛陽] 출생. 존칭으로 ‘명도선생’이라 불리고, 동생 정이(程頤 : 伊川)와 함께 이정자(二程子)로 부름.
명도이천(明道伊川)[아림가(娥林歌) 36 페이지 / 전적]
중국 송나라의 유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頥) 형제를 이르는 말. 정호(程顥, 1032~1085)의 자는 백순(伯淳), 호는 명도(明道), 시호는 순(純). 허난성[河南省] 뤄양[洛陽] 출생. 존칭으로 명도선생이라 불리고, 동생 정이(程頤
명도지계(冥途之界)[권왕가 40 페이지 / 전적]
명계(冥界). 황천(黃泉). 죽은 후에 간다는 영혼의 세계.
명란(明亂)[답선유가라(답션뉴가리) 9 페이지 / 전적]
어지럽게 비침.
명랑(明朗)[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1 페이지 / 전적]
흐릿한 기운 없이 맑고 환함.
명랑(明朗)[무제(▩▩▩▩) 8 페이지 / 두루마리]
유쾌하고 활발함.
명랑(明朗)[노졍긔 28 페이지 / 전적]
흐린 데 없이 밝고 환함.
명랑(明朗)[무제(▩▩▩▩) 8 페이지 / 두루마리]
유쾌하고 활발함.
명랑(明朗)[노졍긔 28 페이지 / 전적]
흐린 데 없이 밝고 환함.
명랑(明朗)[가야희인곡 9 페이지 / 두루마리]
흐린 데 없이 밝고 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