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명랑鳴樃[ 1 페이지 / ]

노를 젓다.

명려(明麗)[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깨끗하고 맑음.

명려(明麗)[가야희인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맑고 고움.

명령(螟蛉)[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48 페이지 / 전적]

「螟蛉」-養子를 말함. 옛사람이 말하기를「蜾嬴가 螟蛉을 길러 제 새끼로 만든다」해서 後世에 螟蛉을 養子의 稱으로 삼았음. 詩經 小雅小宛에「螟蛉有子 蜾嬴負之」라 했고 箋에「蒲盧가 桑虫의 새끼를 물어다가 입으로 불어서 제새끼를 만든다」라 하였음

명령(螟蛉)[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82 페이지 / 전적]

「螟蛉」-禮學記의 「蛾子時術之」를 引用한 것임

명령(螟蛉)[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91 페이지 / 전적]

「螟蛉請誨」-禮學記에 「蛾子時術之」라는 대문이 있는데 蛾子는 즉 螟蛉으로 小蟲을 말한것임。

명령계사(螟蛉继祀)[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7 페이지 / 전적]

어리석은 자식이 후대를 잇게 됨.

명륜가(明倫歌)[명륜가(明倫歌) 3 페이지 / 전적]

인간이 지켜야 할 윤리를 밝히는 노래.

명륜당(明倫堂)[도덕가(道德歌) 3 페이지 / 전적]

성균관이나 향교 안에 있는 유학을 강론하는 곳

명륜당(明倫堂)[거창가라 9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성균관 안에서 유학을 가르치던 곳.

명륜당(明倫堂)[아림가(娥林歌) 10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성균관 안에서 유학을 가르치던 곳.

명륜통론편(明倫通論篇)[빈주접례가(賓主接禮歌) 6 페이지 / 전적]

소학'의 내편 「명륜 통론(通論)」 편을 이름.

명륜통론편(明倫通論篇)[통륜가(通倫歌) 2 페이지 / 전적]

소학'의 내편 「명륜 통론(通論)」 편을 이름.

명릉(明陵)[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8 페이지 / 전적]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조선 숙종과 계비(繼妃) 인현왕후(仁顯王后), 인원왕후(仁元王后)의 능.

명릉(明陵)[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0 페이지 / 전적]

서오릉의 하나. 경기도(京畿道) 고양군 신도읍에 있는, 조선(朝鮮) 숙종(肅宗)과 숙종(肅宗) 계비(繼妃) 인현(仁顯) 왕후(王后)의 능.

명리(名利)[원적가 4 페이지 / 전적]

명예와 이익을 아울러 이르는 말.

명막(冥漠)[허후전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까마득하게 멀고 넓다.

명만천하(名滿天下)[지리산이수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이름이 세상에 널리 퍼짐.

명말[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17 페이지 / 두루마리]

명언(名言).

명망(名望)[회혼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명성과 인망을 아울러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