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무력(武力)[삼강오륜가 서 3 페이지 / 전적]
병력(兵力). 군사상의 힘. 또는 마구 욱대기는 힘.
무렴(無廉)[여행록이라(여녹이라) 7 페이지 / 전적]
염치가 없음을 느껴 마음이 부끄럽고 거북함.
무렴(無廉)[아림가(娥林歌) 33 페이지 / 전적]
① 염치가 없음. ② 염치가 없음을 느껴 마음이 부끄럽고 거북함.
무령(巫鈴)[벽천가 27 페이지 / 전적]
무당이 쓰는 도구의 하나로 무당이 점칠 때나 굿을 할 때에 손에 들고 춤추는 방울. 여기서는 신통하다는 뜻.
무령왕(武寧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1 페이지 / 전적]
백제 제25대 왕(462~523). 이름은 사마(斯摩/斯痲)ㆍ융(隆). 24대 동성왕의 둘째 아들로, 양나라와 친교를 맺으며 국내 안정에 힘쓰는 한편, 쌍현성(雙峴城)을 쌓아 외침에 대비하였다.
무령현(撫寧縣)[연행별곡(연별곡) 18 페이지 / 전적]
한(漢)의 여성현(驪成縣) 땅.금(金) 태종말(太宗末)에 무령현(撫寧縣)을 둠.
무례(無禮)[한양가라 34 페이지 / 전적]
말과 행동에 예의가 없음.
무로(無路)[오륜가라 15 페이지 / 전적]
길(방법)이 없음.
무로하여[오륜가라 12 페이지 / 전적]
길이 없어.
무로하여[오륜가라 12 페이지 / 전적]
길이 없어.
무론(無論)[청림도사궁을전(靑林道士弓乙傳) 4 페이지 / 전적]
물론.
무뢰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54 페이지 / 전적]
「無賴」―史記高祖記의「無賴」註에 「江淮의 사이에서는 小兒의多詐하고 狡猾함을 들어 無賴라 한다」하였음. 대개 貧窮하여强橫妄爲하는 자를 無賴라 稱함.
무뢰배(無賴輩)[로인가 6 페이지 / 전적]
성품이 막되어 예의와 염치를 모르며, 일정한 소속이나 직업이 없이 불량한 짓을 하며 돌아다니는 사람들의 무리.
무료(無聊)[상사진정몽가(相思陳情夢歌) 4 페이지 / 전적]
흥미가 없어 심심하고 지루한 것.
무료(無聊)하다[오륜가라 17 페이지 / 전적]
수줍거나 창피하여 볼 낯이 없음. 무안하다의 옛 말.
무료(無聊)하다[오륜가라 17 페이지 / 전적]
수줍거나 창피하여 볼 낯이 없음. 무안하다의 옛 말.
무료(無聊)히[긔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흥미 있는 일이 없어 심심하고 지루하게.
무료(無聊)히[초씨션원쳥음가 14 페이지 / 전적]
부끄럽고 열없이.
무륜(無倫)[조씨가천소리 1 페이지 / 두루마리]
윤리가 없음.
무르익는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58 페이지 / 전적]
「葳蕤」― 楚辭 七諫初放에「上葳蕤而防露兮」라는 句가 있는데 王逸註에「葳蕤는 盛貌」라 했고 洪興祖補註에「草木이 드리운 모양이다」라 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