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무고(無故)[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6 페이지 / 전적]

아무런 까닭이 없음.

무고(無故)히[효행가(孝行歌) 4 페이지 / 전적]

아무런 까닭이 없이.

무고(無辜)[시절가 15 페이지 / 전적]

아무런 잘못이나 허물이 없음.

무고(誣告)[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4 페이지 / 전적]

사실이 아닌 일을 거짓으로 꾸미어 해당 기관에 고소하거나 고발하는 일.

무고(誣告)[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6 페이지 / 전적]

없는 사실(事實)을 거짓으로 꾸며 고소(告訴)하거나 고발(告發)하는 것.

무고사(巫瞽事)[권학가 10 페이지 / 전적]

무당과 판수들이 하는 일.

무고사(巫瞽事)[도덕가 2 페이지 / 전적]

무당과 판수들이 하는 일.

무고사(巫蠱事)[역대삼재가라 8 페이지 / 전적]

주술을 행하고 부적이나 영수(靈水)를 마시게 하여 병을 고친다는 요법.

무곡(無穀)[대효가(大孝歌) 4 페이지 / 전적]

곡식이 없음.

무공(武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40 페이지 / 전적]

「之純」-文王의 德을 형용한 말임. 周頌維天之命에「於乎不顯文王之德之純」이 있고, 「止止」는 詩經大雅 文王에 「穆穆文王於緝熙敬止」라는 句가 있음.

무공적(無孔笛)[나웅하상토굴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구멍이 없는 피리라는 뜻으로 불교(佛敎)에서 깨달음의 경지를 나타내는 말. 구멍없이 피리를 불 수 없듯이 깨달음의 경지를 말이나 그림 또는 생각으로 표현해낼 수 없음을 뜻하는 말이다.

무과(武科)[팔도안희가 21 페이지 / 전적]

고려와 조선시대에 무관을 뽑던 과거를 말한다. 무예(武藝)와 병서(兵書)를 시험 보았는데, 삼 년에 한 번씩 정규적으로 실시하는 식년무과(式年武科)와 수시로 실시하는 증광시(增廣試), 별시(別試), 알성시(謁聖試), 정시(庭試), 춘당대시(春塘臺試) 등의 각종 비정규 무과가 있었다.

무과(武科)[로인가 12 페이지 / 전적]

무관을 뽑던 과거. 무예와 병서를 시험 보았는데, 삼 년에 한 번씩 정규적으로 실시하는 식년 무과와 수시로 실시하는 증광시ㆍ별시ㆍ알성시ㆍ정시ㆍ춘당대시 따위의 각종 비정규 무과가 있었음. 응시 자격에 특별한 제한이 없어서 천인도 면천(免賤)의 절차를 밟아 응시할 수 있었음.

무광(無光)[종매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빛이 없다.

무광(無光)[초한가라 29 페이지 / 전적]

빛이 없다.

무광(無光)[후원초당 봄이듯이 6 페이지 / 두루마리]

빛이나 광택이 없음.

무괴(無怪)[거창가라 27 페이지 / 전적]

괴이할 것이 없다.

무괴(無怪)[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2 페이지 / 전적]

괴이할 것이 없다.

무괴(無愧)[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5 페이지 / 전적]

부끄러워하거나 뉘우침이 없음.

무괴(無愧)[근혼가(謹婚歌) 5 페이지 / 전적]

부끄러움이 없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