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발정(發程)하니[도슈샤 2 페이지 / 전적]
길을 떠나니.
발종지시(發蹤指示)[초한가라 4 페이지 / 전적]
매어놓았던 사냥개를 풀어 짐승이 있는 곳을 가리켜 잡게 한다는 뜻. 유방이 전후에 논공행상 과정에서 소하를 1등 공신으로 뽑고, 이에 반대하는 장군들에게 했던 말에서 유래.
발지[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4 페이지 / 전적]
발이 지나가다. 발자취. 발걸음걸이. 걸음걸이.
발채 망구[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1 페이지 / 전적]
짐을 싣기 위하여 지게에 얹는 물건. 망태기의 옛말. 가는 새끼나 노로 만든 그릇. 물건을 담아서 들고 다니는 데에 쓰는 그릇.
발천(發闡)[안심가 10 페이지 / 전적]
앞길을 열어서 세상에 나섬.
발천(發闡)[옥산가라 36 페이지 / 전적]
싸이거나 가려져 있던 것이 열리어 드러남. 앞길이 열려 세상에 나섬. 또는 앞길을 열어서 세상에 나서게 함.
발칙[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13 페이지 / 전적]
「接武」- 武는 足跡임. 詩經 大雅 生民에「履帝武敏」의 글구가있음.
발포진(鉢浦鎭)[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14 페이지 / 전적]
지금의 고흥군 도화면 내발리 성촌에 있었다. 현재도 일부 성벽유적이 남아 있다.
발한그름[형제붕우소회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빠른 걸음.
발해(渤海)[연행별곡(연별곡) 17 페이지 / 전적]
698년에 고구려의 장수였던 대조영이 고구려의 유민과 말갈족을 거느리고 동모산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발행(發行)[그리져리구경하고 5 페이지 / 전적]
길을 떠남.
발행(發行)[갑지녹이라 4 페이지 / 전적]
목적지를 향해 출발함.
발행(發行)[북쳔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길을 떠남.
발행(發行)[북쳔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길을 떠남.
발행(發行)[셔유곡 2 페이지 / 전적]
길을 떠남.
발행(發行)[팔도가 6 페이지 / 전적]
출발.
발행(發行)[팔도가 6 페이지 / 전적]
출발.
발행(發行)[북쳔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길을 떠나감.
발현(發現)[환무자탄가 5 페이지 / 전적]
속에 숨긴 것을 드러냄. 여기서는 ‘되다’의 뜻.
발호시령(發號施令)[명륜가(明倫歌) 44 페이지 / 전적]
명령을 내려서 시행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