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발복(發福)[옥설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운이 틔어서 복이 닥침. 또는 그 복.

발복(發福)[오륜가라 28 페이지 / 전적]

운이 틔어서 복이 닥침. 또는 그 복

발복(發福)[가사소리 28 페이지 / 전적]

운이 틔어서 복이 닥침. 또는 그 복

발부(髮膚)[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13 페이지 / 전적]

머리털과 살.

발부(髮膚)[지효가(知孝歌) 1 페이지 / 전적]

머리털과 살.

발부(髮膚)[무제(양신택졍하여) 15 페이지 / 전적]

머리털과 피부를 아울러 이르는 말.

발부(髮膚)[별한가 2 페이지 / 전적]

머리털과 피부를 아울러 이르는 말.

발상(發喪)[경노의심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상례(喪禮)에서 죽은 사람의 혼을 부른 뒤 상제가 머리를 풀고 슬피 곡을 하여 초상난 것을 알림.

발설 지옥(拔舌地獄)[권왕가 29 페이지 / 전적]

말로써 사악한 짓을 저지른 자가 떨어진다는 지옥. 혀를 잡아 뺀다고 함.

발설(發說)[쌍옥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입 밖으로 말을 냄.

발설(發說)[이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입 밖으로 말을 내어 남이 알아듣게 하는 것.

발설지옥(拔舌地獄)[일회심곡(一回心曲) 8 페이지 / 전적]

말로써 죄를 지은 사람이 죽어서 간다는 지옥.

발설지옥(拔舌地獄)[서가여래가사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나쁜 구업(口業)을 지은 사람이 가는 곳. 보습으로 혀를 가는 고통을 받는다고 함.

발설지옥(拔舌地獄)[서가여래가사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나쁜 구업(口業)을 지은 사람이 가는 곳. 보습으로 혀를 가는 고통을 받는다고 함.

발섭(跋涉)[의향소창가 26 페이지 / 전적]

산을 넘고 물을 건너다는 뜻으로 여러 곳을 두루 돌아다님.

발섭(跋涉)[리행소챙가 16 페이지 / 전적]

산을 넘고 물을 건너다는 뜻으로 여러 곳을 두루 돌아다님.

발신(發身)[가사소리 36 페이지 / 전적]

천하거나 가난한 처지를 벗어나 앞길이 훤히 트임.

발심 염불(發心念佛)[권왕가 59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150 참조.

발심(發心)[권왕가 13 페이지 / 전적]

발보리심(發菩提心)의 준말. 일념발기(一念發起). 보리심을 일으키는 일. 보리심(菩提心) : 선심(善心). 스스로 불도의 깨달음을 얻고, 그 깨달음으로써 널리 중 생을 교화하려는 마음. 앞에 든 각주 130 참조. 출가(出家) : 사가(捨家). 속가(俗家)를 떠나 불문에 드는 일.

발심용진(發心勇進)[셩경가 9 페이지 / 전적]

어떤 일을 하기로 마음먹고 용감하게 나아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