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방가위지충신(方可謂之忠臣)[한흥가라 50 페이지 / 전적]

바야흐로 가히 충신이라 이를 수 있다.

방가위지충신(方可謂之忠臣)[한흥가라 50 페이지 / 전적]

바야흐로 가히 충신이라 이를 수 있다.

방간(芳幹)[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1 페이지 / 전적]

이방간, 즉 회안대군의 본명. 그는 조선 태조의 넷째 아들(?~1421)로 왕위 계승의 야심을 품고 동생 방원(芳遠)을 질시하던 중에, 박포의 거짓 밀고를 믿고 군사를 일으켜 방원을 공격하였으나 실패하여 유배되었다.

방감(芳甘)[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3 페이지 / 두루마리]

향기롭고 달콤함.

방감(芳甘)[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3 페이지 / 두루마리]

향기롭고 달콤함.

방고[씨름판가(시름판가) 5 페이지 / 전적]

진영을 설치하고 야간에 순찰할 때 두드리는 딱딱이.작은 북.

방곡(坊曲)[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 페이지 / 전적]

면(面) 이하의 행정 구역인 이(里)를 이르는 말.

방골[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9 페이지 / 전적]

방곡(坊曲)과 같은 뜻으로 마을, 동네를 뜻함.

방공(龐公)[송강집(松江集二)2 83 페이지 / 전적]

양양 방덕공(襄陽 龐德公)은 동한(東漢) 사람인데 일찌기 현산(峴山)의 남쪽에 살고 성시(城市)에 들어오지 않았으며, 유표(劉表)가 자주 청했으나 굴하지 않고 처자(妻子)를 거느리고 녹문산(鹿門山)에 올라가서 채약불반(採藥不返)하였음.

방광(放光)[권왕가 43 페이지 / 전적]

부처가 백호(白毫)의 빛을 내쏘는 것.

방광대(放光臺)[금강산유람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고려 태조가 정양사에 왔을 때 법기보살(法起菩薩)이 현신(現身)하여 석상(石上)에서 방광(放光:빛이 남)을 하였고 전해지는데, 법기보살이 현신한 곳을 방광대(放光臺)라고 함.

방구(防口)[기원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이 다른 말을 하거나 말을 퍼뜨리지 못하게 입을 막음.

방구리[권농가(권롱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물을 긷거나 술을 담는데 쓰는 질그릇.

방구리[권농가(권롱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물을 긷거나 술을 담는데 쓰는 질그릇.

방국(邦國[삼강오륜가 서 14 페이지 / 전적]

국가(國家).

방군(放軍)[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15 페이지 / 전적]

영진(營鎭)에서 부방하는 군사를 집으로 돌려보냄. 그 대가로는 베를 거두어 들이는데 이를 방군수포(放軍收布)라고 한다.

방군수포(放軍受布)[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28 페이지 / 전적]

앞의 어휘 16번 참조 바람.

방긋[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2 페이지 / 전적]

「巧笑瑳」―詩經 衛風 竹竿에「巧笑之瑳 佩玉之儺」의 句가 있음.

방납(方臘)[송강집(松江集二)2 133 페이지 / 전적]

송(宋)나라 휘종(徽宗) 연간에 칠상(漆商) 방납은 세금이 과중하다는 이유로 난을 일으켰음.

방납(防納)[송강집(松江集三)3 65 페이지 / 전적]

중간에서 대납(代納)하고 본인(本人)에게 착취하는 것.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