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밝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2 페이지 / 전적]

「姮娥」― 嫦娥로도 씀. 淮南子 覽冥에「羿請不死之藥於西王母姮娥竊之 奔月宮」이라 하였음. 그래서 달의 異稱이 된 것임.盧仝의 有所思에「娟娟姮娥月 三五二八盈又缺」이라 했음.

밝은 달은 파려를[석천집(石川集二-二)2-2 137 페이지 / 전적]

하늘빛이다.

밝은 임금……하며[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64 페이지 / 전적]

타좌(楕脞)는 게으르고 자질구레함.《書經 虞書 益稷》에‘임금이 밝으면 신하도 어질 것이다.‘고 했고, 또‘임금이 자질구레하면 신하도 게으르게 된다.‘고 했는데, 여기서 인용한 말이다.

밝은 임금이야 너그럽게 허물을 받아들이지만[석천집(石川集二-二)2-2 117 페이지 / 전적]

임금의 자리에 있는 자는 좋지 않은 것도 너그럽게 받아들인다는 뜻이다. <<좌전>> 선공15년조에 ‘임금이 허물을 받아들였다.[國君含垢]‘는 기록이 있다.

밤중에 우뢰 일어남[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46 페이지 / 전적]

동지에 일양 (一陽)이 생겨나므로 복괘(復卦)에 해당하니 복괘는 곤상진하(坤上震下)로 지뢰복(地雷復)이 된다. 소강절의 시에 ‘동짓날 자시 반에, 하늘의 마음은 고치지 않았네. 한 양이 처음 움직이는 곳이며, 만물은 생겨나서 않은 때로다.〔多至子之半 天心無改移 一陽動處 萬物未生時〕‘하였다.《周易 復卦》

밥그력[소동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밥그릇.

밥부제[회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밥보자기’의 경상도 방언.

밧긴이을[셕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바깥 일을.

밧듬직도[남천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받들다.

밧듬직도[남천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받들다.

밧분그렴[용문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바쁜 걸음.

밧비들어[소동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바삐 거들어.

밧비려고[앤여가(여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밥빌었고.

밧사랑 늘근시부[복션화음록 23 페이지 / 전적]

바깥 사랑방에 있는 늙은 시아버지.

밧주인[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바깥주인.

밧주인[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바깥주인.

방 두(房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89 페이지 / 전적]

「房杜」-房玄齡, 杜如晦의 合稱인데 위의 十八學士註에 나타나 있음。

방가위지(方可謂之)[권왕가 16 페이지 / 전적]

방가위(方可謂). 과연 그렇다고 이를 만하게.

방가위지(方可謂之)[한양가라 49 페이지 / 전적]

과연 그렇다고 말할 만하다.

방가위지충신(方可謂之忠臣)[한흥가라 50 페이지 / 전적]

바야흐로 가히 충신이라 이를 수 있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