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범증(范增)[거사가 4 페이지 / 전적]
중국 진(秦)나라 말기 사람. 초(楚)나라의 항우(項羽)를 따라 기계(奇計)로써 전공을 세웠음.
범증(范增)[우미인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고대 중국의 책사이자 정치가. 항우와 초나라를 위해 줄곧 유방을 죽이려고 하였지만 계속 실패하고, 오히려 유방의 모사 진평의 반간계에 빠진 항우에 의해 쫒겨났다. 항우에게 버림받고 천하를 떠돌다가 악성 등창으로 객사하였다고 함.
범증(范增)[갑지녹이라 22 페이지 / 전적]
고대 중국의 책사이자 정치가. 항우와 초나라를 위해 줄곧 유방을 죽이려고 하였지만 계속 실패하고, 오히려 유방의 모사 진평의 반간계에 빠진 항우에 의해 쫒겨났다. 항우에게 버림받고 천하를 떠돌다가 악성 등창으로 객사하였다고 함.
범증(范增)[갑지녹이라 22 페이지 / 전적]
고대 중국의 책사이자 정치가. 항우와 초나라를 위해 줄곧 유방을 죽이려고 하였지만 계속 실패하고, 오히려 유방의 모사 진평의 반간계에 빠진 항우에 의해 쫒겨났다. 항우에게 버림받고 천하를 떠돌다가 악성 등창으로 객사하였다고 함.
범증(范增)[우미인가라 2 페이지 / 전적]
고대 중국의 책사이자 정치가. 항우와 초나라를 위해 줄곧 유방을 죽이려고 하였지만 계속 실패하고, 오히려 유방의 모사 진평의 반간계에 빠진 항우에 의해 쫒겨났다. 항우에게 버림받고 천하를 떠돌다가 악성 등창으로 객사하였다고 함.
범증(范增)[자치가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초나라 때 책사.
범증(范增)[잣치가라(치라) 22 페이지 / 전적]
초나라 때 책사.
범증(范增)[소상팔경가 12 페이지 / 전적]
초나라 때 책사.
범증(范增)[자치가 13 페이지 / 전적]
초나라 때 책사.
범초(凡楚)[송강집(松江集二)2 110 페이지 / 전적]
범(凡)은 소국(小國)이요 초(楚)는 대국(大國)이지만 흥망에 있어서는 같는는 것임.
범충(范忠)[오륜가라 35 페이지 / 전적]
범충선공(范忠宣公), 이름은 순인(純仁), 자는 요부(堯夫), 시호는 충선(忠宣)이다. 사람됨이 후덕하고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학문과 덕이 높아 북송의 재상에 올랐다.
범치말고[오윤가 22 페이지 / 전적]
잘못을 저지르지 않고.
범칠랑(范七郞)[연행별곡(연별곡) 16 페이지 / 전적]
만리장성을 소재로 한 시에 등장함.만리장성을 구축하기 위해 동원된 수백만 명의 백성 가운데 한 사람으로 맹강녀(孟姜女)의 남편.그가 돌아오지 못하고 죽자 맹강녀가 장성 앞에서 통곡을 하였고 성이 무너지면서 남편의 시신이 드러났다고 함.또는 죽은 남편을 따라 바다에 몸을 던져 파도가 되었다는 전설, 남편을 기다리다 망부석이 되었다는 전설도 있음.
범을[앤여가(여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범백사(凡百事)를. 모든 일을.
법가윤풍(法家倫風)[당산조션가 11 페이지 / 전적]
예법을 중시 여기는 집안의 윤리 가풍.
법가윤풍(法家倫風)[어와따님요(어와님요) 2 페이지 / 전적]
예법을 중시 여기는 집안의 윤리 가풍.
법계인천(法界人天)[초암가 3 페이지 / 전적]
불법의 범위에 살고 있는 인간계와 천상계의 중생.
법계일상(法界一相)[나웅하상토굴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법계의 일원상(一圓相)으로 뜻하며, 이는 곧 진여(眞如)를 말함.
법궁(法弓)새[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33 페이지 / 전적]
새 이름.
법기보살(法起菩薩)[금강산유람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화엄경(華嚴經』 보살주처품(菩薩住處品)에 나오는 보살로, 금강산에 있다고 전해짐. 표훈사의 주존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