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베고[동상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누울 때, 베개 따위를 머리 아래에 받침.

베옷[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53 페이지 / 전적]

「麻衣」-布衣로 즉 無官者의 代名임. 摭言에『劉虗白與裵垣 同硯席垣主文 虗白猶是擧子 簾前獻一絶句云 「二十年前此夜中 一般燈燭一般風 不知歲月能多少猶著麻衣待至公」』이라 하였음.

베틀[비틀노래 1 페이지 / 두루마리]

삼베, 명주, 무명 등의 옷감을 짜는 틀.

베틀노래[비틀노래 1 페이지 / 두루마리]

원문에는 ‘비틀노래’라 쓰여 있으나, 현대어로 ‘베틀노래’가 맞음. 우리나라의 구전 민요(口傳民謠)의 하나로 부녀자들이 베를 짜면서 그 과정을 노래한 4․4조의 노래가사이다. 내용은 각 지방마다 조금씩 다르며, 일반적으로 베틀 기구들을 의인화(擬人化) 또는 의태화(擬態化)하고, 혹은 옛고사에 비추어 시집살이에 대한 고된 내용을 비유하거나 풍자한 것이 대부분이다.

벤또[자탄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도시락을 뜻하는 일본 낱말.

[남자답가라(남답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등속(나열한 사물과 같은 종류의 것들을 몰아서 이르는 말)’의 옛말.

벼들흔[용문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버들꽃은.

벼루[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2 페이지 / 전적]

벼루와 관련해서는 인평대군이 아닌 소현세자의 일임.

벼리[삼강오륜가 서 4 페이지 / 전적]

강(綱). 앞에 든 주 참조.

벼리[삼강오륜가 서 6 페이지 / 전적]

강(綱).

벼리[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8 페이지 / 전적]

일이나 글의 뼈대가 되는 줄거리, 또는 밑바탕.

벼리[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7 페이지 / 전적]

일이나 글의 뼈대가 되는 줄거리, 또는 밑바탕.

벼리[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8 페이지 / 전적]

일이나 글의 뼈대가 되는 줄거리, 또는 밑바탕.

벼리[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7 페이지 / 전적]

일이나 글의 뼈대가 되는 줄거리, 또는 밑바탕.

벼리다[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9 페이지 / 전적]

날이 무딘 연장을 불에 달구어 두드려 날카롭게 만들다.

벼마 빗최니[ 1 페이지 / ]

베갯머리에(베개 베고 누어 있는 머리맡)에 비추니.

벼살이 혁혁하여[효봉구고치산가 13 페이지 / 전적]

원본에는 ‘벼살혁도’로 표기되어 있음.

벼서가기 으름도라[형제붕우소회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벗어나기 어렵더라.

벼슬을 쉬면서 지난날 잘못되었음을 깨달았네[석천집(石川集二-二)2-2 151 페이지 / 전적]

도연명이 <귀거래사>에서 ‘지금이 옳고 지난날이 잘못되었음을 깨달았다.[覺今是而昨非]‘라고 했다.

벼슬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52 페이지 / 전적]

「鵷列」-鵷班과 같은데 朝官의 班列을 이름. 말하자면 及弟는 못했지만 벼슬은 낮지않는다는 뜻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