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벼절아[형제붕우소회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브절?아’의 잘못된 표기. 부절(符節)삼아의 뜻.

벼틀굴[용문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베틀굴.

벼혀또다[몽유가(몽류가) 9 페이지 / 전적]

버렸도다.

벼혀또다[몽유가(몽류가) 9 페이지 / 전적]

버렸도다.

벼뢰고[ 1 페이지 / ]

볕에 말리고.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32 페이지 / 전적]

「面壁」-佛家의 坐禪을 말한 異名임. 五燈會元에 『達磨가 嵩山少林寺에 寓止하여 面壁하고 앉았었다』라 했음.

벽碧[ 1 페이지 / ]

사시사철 무른 소나무, 즉 벽송(碧松)을 가리킴

벽간(壁間)[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0 페이지 / 전적]

벽면. 기둥과 기둥 사이의 벽의 부분.

벽계(碧溪)[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18 페이지 / 전적]

물빛이 매우 푸르게 보이는 맑은 시내.

벽계(碧溪)[금강산유람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물이 맑아 푸른빛이 도는 시내.

벽계수(碧溪水)[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2 페이지 / 전적]

푸르고 맑은 시냇물.

벽계수(碧溪水)[자치가라 17 페이지 / 두루마리]

물빛이 맑아 푸르게 보이는 시냇물.

벽계옹(碧溪翁)[고분가 11 페이지 / 전적]

신선(神仙).

벽계옹(碧溪翁)[고분가 11 페이지 / 전적]

신선(神仙).

벽곡방을[은삭가 8 페이지 / 전적]

곡식은 안 먹고 솔잎, 대추, 밤 따위만 조금씩 먹음.

벽곡방을[은삭가 8 페이지 / 전적]

곡식은 안 먹고 솔잎, 대추, 밤 따위만 조금씩 먹음.

벽공(碧空)[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2 페이지 / 전적]

벽천(碧天). 푸른 하늘.

벽공(碧空)[봉별가 5 페이지 / 전적]

하늘.

벽담(碧潭)[셔유곡 14 페이지 / 전적]

푸른빛이 감도는 깊은 못.

벽도(碧桃)[화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벽도화(벽도나무의 꽃). 선경(仙境)에 있다는 전설상의 복숭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