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부재(父在)할 제 기지(其志)를 보고 부몰(父沒)할 제 기행(其行)을 보니[시양병가(侍養病歌) 3 페이지 / 전적]
부모가 살아계실 땐 그 뜻을 살피고, 돌아가시면 그 행위를 살피니.
부재(父在)할 제 기지(其志)를 보고 부몰(父沒)할 제 기행(其行)을 보니[근신가(謹身歌) 1 페이지 / 전적]
부모가 살아계실 땐 그 뜻을 살피고, 돌아가시면 그 행위를 살피니.
부재(父在)할 제 기지(其志)를 보고 부몰(父沒)할 제 기행(其行)을 보니[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1 페이지 / 전적]
부모가 살아계실 땐 그 뜻을 살피고, 돌아가시면 그 행위를 살피니.
부재어근(不在於斤)[흥비가 2 페이지 / 전적]
도끼날에 있지 않다.
부저(釜底)[회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가마의 밑.
부전자전(父傳子傳)[효행가(효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아버지가 아들에게 대대로 전함.
부전자전(父傳子傳)[효행가(효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아버지가 아들에게 대대로 전함.
부절(不絶)[신자가(信字歌) 9 페이지 / 전적]
끊이지 아니하고 계속됨.
부절(符節)[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돌이나 대나무, 옥 등으로 만든 물건에 글자를 새겨 다른 사람과 나눠 가졌다가 나중에 다시 맞추어 증거로 삼는 물건.
부절(符節)[형제붕우소회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돌이나 대나무·옥 등으로 만들어 신표로 삼던 물건.
부절(不絶)[금강산유람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끊이지 아니하고 계속됨.
부절문종(不絶文種)[화전가1 15 페이지 / 전적]
학문할 종자가 끊기지 않게.
부절문종(不絶文種)[화전가2 15 페이지 / 전적]
학문할 종자가 끊이지 않게.
부정(不定)[신자가(信字歌) 10 페이지 / 전적]
일정하지 않음.
부정모혈(父精母血)[명륜가(明倫歌) 15 페이지 / 전적]
아버지의 정기와 어머니의 피.
부정연추(不正連椎)[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부정하게 자꾸 매질을 한다는 말.
부정연추(不正連椎)[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부정하게 자꾸 매질을 한다는 말.
부정연추(不正連椎)[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부정하게 자꾸 매질을 한다는 말.
부제(夫弟)[근혼가(謹婚歌) 5 페이지 / 전적]
남편의 아우.
부제(夫弟)[분별가(分別歌) 1 페이지 / 전적]
남편의 아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