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부제학(副提學)[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2 페이지 / 전적]

홍문관의 정삼품 당상관 벼슬.

부제학(副提學)[로인가 12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둔 홍문관의 정삼품 당상관 벼슬.

부조(不躁)[신도가(臣道歌) 5 페이지 / 전적]

성급하지 아니함.

부조(扶助)[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8 페이지 / 전적]

도와줌. 또는, 잔칫집이나 상가(喪家) 등에 돈이나 물건을 보내는 것.

부조(扶助)[환무자탄가 27 페이지 / 전적]

잔칫집이나 상가 등 남의 큰 일에 돈이나 물건을 보내 도와줌.

부조(扶助)[남산동이진사효행록(남동이진효횡녹) 12 페이지 / 전적]

잔칫집이나 상가(喪家) 등에 돈이나 물건을 보내어 도와줌.

부조(扶助)[답긔슈가 6 페이지 / 전적]

잔칫집이나 상가(喪家) 따위에 돈이나 물건을 보내어 도와줌.

부조(浮藻)[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89 페이지 / 전적]

「浮藻」―藻는 文章을 말함.杜甫詩에 「江山古宅空文藻」라는句가 있음.

부조(浮藻)[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03 페이지 / 전적]

「浮藻」- 藻는 文을 말함. 斑國賦에 「舖鴻藻」가 있고 杜甫詩에 『江山故宅空問藻』가 있는데 모두 文을 의미한 것임.

부조(浮躁)[오륜가라 18 페이지 / 전적]

성질이 들뜨고 경망스럽다.

부조배향(不朝配享)[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2 페이지 / 전적]

조정 배향에 오르지 못함.

부족(夫族)[후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남편의 친족.

부주(涪州)[송강집(松江集二)2 101 페이지 / 전적]

涪州謪. 송(宋)나라 정이천(程伊川)이 부주(涪州)로 귀양 갔다 돌아온 고사(古事) 에서 나온 말임.

부주(父主)[애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아버님

부주(父主)[장씨부인역사라 17 페이지 / 전적]

아버지.

부주(父主)[장씨부인역사라 17 페이지 / 전적]

아버지.

부주(父主)[축원하온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한문 투의 편지에서 ‘아버님’의 뜻으로 쓰는 말.

부주(父祖)[헌수가(헌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태어날 때부터 자손에게 전해져 내려오는 소질이나 성질.

부주(父祖)[헌수가(헌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태어날 때부터 자손에게 전해져 내려오는 소질이나 성질.

부준(不遵)[오륜가라 6 페이지 / 전적]

‘따르지 않다, 지키지 않다’는 뜻.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