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부처(夫妻)[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22 페이지 / 전적]
남편(男便)과 아내.
부처(夫妻)[연행별곡(연별곡) 12 페이지 / 전적]
남편(男便)과 아내.
부체(賦體)[옥셜화답 10 페이지 / 전적]
부(賦)의 문체.
부총[초한가라 12 페이지 / 전적]
부용(芙蓉)의 오기인 듯.
부추(鳧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01 페이지 / 전적]
「鳧趍」-官員이 入朝時에 趍進하는 것이 오리가 기어가는 것과 같다해서 용어가 된 것임.
부춘산[팔역가(八域歌) 28 페이지 / 전적]
중국 절강성에 있는 산으로 엄자릉이 은거한 곳
부춘산(富春山)[남여동락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절강성(浙江省) 동노현(桐盧縣)에 있는 산. 후한(後漢) 때 은사(隱士)인 엄자릉(嚴子陵)이 살던 곳으로 유명함.
부춘산(富春山)[남여동락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절강성(浙江省) 동노현(桐盧縣)에 있는 산. 후한(後漢) 때 은사(隱士)인 엄자릉(嚴子陵)이 살던 곳으로 유명함.
부춘산(富春山)[청춘사연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후한 광무제 때 엄자릉이 살았던 곳.
부춘산(富春山)[거창가라 16 페이지 / 전적]
엄자릉이 은거하던 곳.
부춘산(富春山)[아림가(娥林歌) 17 페이지 / 전적]
엄자릉이 은거하던 곳.
부춘산이[은삭가 7 페이지 / 전적]
부춘산(富春山)은 엄자릉이 은거하던 곳임.
부춘산이[은삭가 7 페이지 / 전적]
부춘산(富春山)은 엄자릉이 은거하던 곳임.
부춘산하(富春山下)[조심가라 26 페이지 / 전적]
부춘산은 엄자릉이 은거하던 곳.
부춘산하(富春山下)[조심가라 26 페이지 / 전적]
부춘산은 엄자릉이 은거하던 곳.
부친현판[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9 페이지 / 전적]
붙인 현판(懸板).
부침(浮沈)[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6 페이지 / 두루마리]
물 위에 떠올랐다 물속에 잠겼다 함.
부탁하노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2 페이지 / 전적]
「繾綣」- 서로 얼른 떠나지 못함을 이름. 左傳昭公 二十五年「繾綣從公」이 있고 註에「不離散」이라 하였음.
부탕(浮蕩)[충효가(忠孝歌) 8 페이지 / 전적]
내용이 허황되고 음탕함.
부토[사모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한줌의 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