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금릉절강[팔역가(八域歌) 12 페이지 / 전적]

금릉은 중국 강소성 남경, 절강은 중국 절강성

금리 동침(衾裏同寢)[과부가(寡婦歌) 2 페이지 / 전적]

동침동금(同枕同衾). 한 이부자리에서 남녀가 잠자리를 같이하는 것.

금마 옥당(金馬玉堂)[석천집(石川集二-五)2-5 125 페이지 / 전적]

중국 한(漢)나라 때에 금마문(金馬門)과 옥당전(玉堂殿)은 문학을 하는 선비가 벼슬에 나아가던 관청. 후에 한림원(翰林院)을 이렇게 지칭하였다.

금마옥당(金馬玉堂)[송강집(松江集六)6 13 페이지 / 전적]

한(漢)나라 때 금마옥당(金馬玉堂)은 학문을 하는 선비가 출사(出 仕)하는 관아(官衙)로 후세에 한림원(翰林院)을 금마옥당이라 함. 歐陽修 會老堂口號에 「金馬玉堂三學士 淸風明月兩閒人」

금목죽절(金木竹節)[우미인가라 8 페이지 / 전적]

금목서와 대나무로 만든 비녀(죽절비녀)>

금목죽절(金木竹節)[우미인가라 8 페이지 / 전적]

금목서와 대나무로 만든 비녀(죽절비녀)>

금문[팔역가(八域歌) 46 페이지 / 전적]

궁궐의 문, 우객은 미상

금문(禁門)[옥산가라 57 페이지 / 전적]

출입을 금지한 문.

금문고문(今問古文)[ 1 페이지 / ]

금고문(今古文). 경학의 금문(今文)과 고문(古文).

금문고문(今問古文)[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87 페이지 / 전적]

금고문(今古文). 경학의 금문(今文)과 고문(古文).

금반(衿鞶)[혼례가(婚禮歌) 5 페이지 / 전적]

옷과 주머니.

금반(金盤)[시절가 25 페이지 / 전적]

금으로 만든 쟁반 따위의 그릇. 아름다운 쟁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반형(金盘形)[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8 페이지 / 전적]

금쟁반 형국.

금방(金榜)[조선충효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과거에 급제한 사람의 이름을 써서 거리에 붙이던 글.

금범(錦帆)[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18 페이지 / 전적]

비단으로 만든 돛.

금범(錦帆)[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12 페이지 / 두루마리]

비단으로 만든 돛.

금범(錦帆)[죽엽가(쥭엽가) 7 페이지 / 전적]

비단으로 만든 돛.

금범(錦帆)[차운 18 페이지 / 전적]

비단으로 만든 돛.

금범(錦帆)[상사가라 10 페이지 / 전적]

비단으로 만든 돛.

금범(錦帆)[회츈가라 1 페이지 / 전적]

비단으로 만든 돛.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