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금등편[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23 페이지 / 전적]
金縢」―書經 金縢篇을 이름인데 金으로 緘封한 匱임. 蔡沈傳에 「武王이 有疾하자, 周公은 王室이 편안하지 못하고 殷民은 완전복종하지 않음으로써 根本이 흔들리기 쉽기 때문에 三王에 請命하여, 자기 몸으로써 武王의 죽음을 대신하고자 하니 史官이 그 冊祝의 文을 기록하고 아울러 그 일의 始末을 서술하여 합쳐 한 편을 만들어 金縢의 匱에 수장하였다. 編書者가 이에 인하여 金縢이라 이름한 것이다」라 했음.
금란[팔역가(八域歌) 31 페이지 / 전적]
금 궤짝에 담긴 알
금란(金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82 페이지 / 전적]
「金蘭」 ― 마음을 같이하는 교분을 이름. 易繫辭傳에 「二人同心其利斷金同心之言 其臭如蘭」이란 대문이 있음. 楊素贈薛播州詩에 「利心金各斷 芬言蘭共馥」의 句가 보임.
금란(金蘭)[녁대가(녁가) 28 페이지 / 전적]
쇠보다 견고하고, 난초보다 향기롭다는 뜻으로, 매우 친밀한 사귐이나 두터운 우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란(金襴)[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4 페이지 / 두루마리]
비단(緋緞)의 한 가지. 황금 실을 섞어 호화찬란하게 짜고 명주실로 봉황이나 꽃무늬를 냄.
금란(金鑾)[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83 페이지 / 전적]
「金鑾殿」-通鑑 唐順宗元年에『倉猝召翰林學士鄭絪 衛次公等至金鑾殿』이라 했고 註에 『金鑾殿者 在蓬萊山正西微南 殿西有坡 名曰金鑾坡 德宗卽之 以造東學士院』이라 했음.
금란굴(金幱窟)[관동별곡 11 페이지 / 전적]
통천 바닷가 벼랑에 있는 해식동굴.
금란전(金鑾殿)[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20 페이지 / 전적]
「金鑾殿」-唐皇의 正殿을 말함. 木芍樂은 곧 牡丹인세 唐俗이 牡丹을 중히 여기어 開花中에 처음으로 宮中에 심었음. 天寳遺事에 의하면『唐 太液池에 千葉白蓮이 피자 明皇은 妃子와 더불어 구경하면서 妃子를 가르키며 左右더러 이르기를 이 解語花와 어떠하냐라』했음.
금란지교(金蘭之交)[석천집(石川集二-四)2-4 29 페이지 / 전적]
친구 사이의 敦篤한 友情을 일컫는 말.
금랑(錦囊)[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4 페이지 / 전적]
「錦囊」―唐李賀는 날마다 弱馬를 타고 小奚의 등에 錦囊을 지게하여 밖에서 얻은 것은 빨리 적어 錦囊속에 넣고 저물어야 돌아왔음.
금련촉[석천집(石川集二-二)2-2 200 페이지 / 전적]
옛날 어전에서 쓰던 촛불이다. 소동파가 과거에 급제한 뒤에 영종의 사랑을 입어, 사관으로 임명되어 가까이 모셨다. 잠시 금련촉을 잡았다가
금련촉(金蓮燭)[송강집(松江集二)2 83 페이지 / 전적]
당(唐)나라 영호도(令狐陶)가 한림승지(翰林承旨)로 있을 적에 금중(禁中)에서 야대(夜對)하다 촛불이 다 되니 제(帝)는 금련촉(金蓮燭)을 내려주어 돌아가게 했다.
금롱(禁籠)[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2 페이지 / 두루마리]
새장
금롱(金籠)[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4 페이지 / 전적]
금으로 만든 새장.
금롱(錦籠)[추풍감곡(秋風感曲) 4 페이지 / 전적]
새나 그 밖의 동물을 가두어 기르는 장(欌).
금뢰(金罍)[송강집(松江集三)3 30 페이지 / 전적]
황금으로 장식한 술잔. 詩經 周南篇에「我姑酌彼金罍」
금릉[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07 페이지 / 전적]
강진의 예 이름으로 강진 원님을 말함
금릉(金陵)[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75 페이지 / 전적]
「金陵」― 全羅道 康津의 舊號임。
금릉(金陵)[춘몽가(츈몽가) 23 페이지 / 전적]
삼추(三秋)에 핀 계수나무 꽃.
금릉(金陵)[춘몽가(츈몽가) 23 페이지 / 전적]
중국 오(吳)·송(宋)·양(梁) 등의 도읍지였던 중국 강소성(江蘇省)의 남경(南京).성의 남서부, 양쯔강 남안(南岸), 하구부의 우쑹[吳淞]에서 상류 300km의 지점에 있으며, 주위가 구릉으로 둘러싸여 천연의 요충지를 이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