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금생어수(金生於水)[소상팔경가 22 페이지 / 전적]
금은 물에서 남.
금생어수(金生於水)[자치가 24 페이지 / 전적]
금은 물에서 남.
금생여수(金生如水)[추월감 9 페이지 / 두루마리]
금이 물처럼 나옴.
금생여수(金生麗水)[지리산이수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금(金)은 여수(麗水)에서 남.
금생유수(金生流水)[츄억감 13 페이지 / 두루마리]
금이 흐르는 물에서 남.
금석(金石)[한양가라 84 페이지 / 전적]
쇠붙이와 돌이라는 뜻으로, 매우 굳고 단단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석(金石)[북쳔가 17 페이지 / 두루마리]
매우 단단한 것을 비유.
금석(金石)[오륜가라 13 페이지 / 전적]
쇠붙이와 돌이라는 뜻으로, 매우 굳고 단단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석(金石)[가사소리 13 페이지 / 전적]
쇠붙이와 돌이라는 뜻으로, 매우 굳고 단단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석(金石)[축원하온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쇠붙이와 돌이라는 뜻으로 매우 굳고 단단한 것을 비유하는 말. 여기에서는 굳은 절개를 표현하는데 사용됨.
금석가약(金石佳約)[남매상별가라(남매별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젊은 남녀가 부부가 되어 평생을 같이 지낼 것을 굳게 다짐하는 아름다운 언약
금성(金城)[ 1 페이지 / ]
금성산성을 말한다. 담양군 용면 도림리와 금성면 금성리에 걸쳐있는 산성으로 삼국시대 혹은 고려시대 때 축성되었다고 한다. 사적 제353호인 이산성은 해발603미터의 산성산 주봉과 연대봉.노적봉 등의 능선을 따라 만들어진 서석으로 전체 길이는 7킬로미터에 달한다.
금성(金城)[옥설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쇠로 만든 성이라는 뜻으로, 굳고 단단한 성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임금이 거처하는 성.
금성(金聲)[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2 페이지 / 전적]
가을바람 소리. 오행(五行)에서 금(金)은 서쪽을 뜻함.
금성(金聲)[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1 페이지 / 두루마리]
쇠에서 나는 소리.
금성(金聲)[추풍감곡(秋風感曲) 3 페이지 / 전적]
쇠에서 나는 소리.
금성(金聲)[차운 4 페이지 / 전적]
가을의 바람 소리. 오행에서 금(金)은 서쪽을 뜻함.
금성(錦城)[ 1 페이지 / ]
금성산을 가리킨다. 전라남도 나주시 경현리에 있는 산으로 해발 451미터다. 이산의 모습이 서울의 삼각산과 같다고 하여 나주를 소경小京이라 불렸다.
금성(金聲)[셩경가 8 페이지 / 전적]
①가을 바람소리. ②상서(相書)에서 사람의 음성(音聲)을 오행(五行)에 나눈 중금의 해당(該當) 소리.
금성(金聲)[셩경가 8 페이지 / 전적]
①가을 바람소리. ②상서(相書)에서 사람의 음성(音聲)을 오행(五行)에 나눈 중금의 해당(該當) 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