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금성대군(錦城大君)[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5 페이지 / 전적]

조선 세종의 여섯째 아들(1426~1457)로 이름은 유(瑜)이다. 사육신의 단종 복위 운동에 연루되어 경상도 순흥에 유배되어 사사(賜死)되었다.

금성대군(錦城大君)[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6 페이지 / 전적]

조선 세종의 여섯째 아들(1426~1457)로 이름은 유(瑜)이다. 사육신의 단종 복위 운동에 연루되어 경상도 순흥에 유배되어 사사(賜死)되었다.

금성옥진(金聲玉振[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쇠의 소리와 옥의 울림이라는 뜻.

금성옥진(金聲玉振[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쇠의 소리와 옥의 울림이라는 뜻.

금성옥진(金聲玉振)[사친가1(思親歌(一)) 7 페이지 / 전적]

시가나 음악의 아름다운 가락을 뜻한 데서, 지덕(智德)이 뛰어나게 됨, 또는 사물의 집대성함을 비유. 흔히, 공자(孔子)의 집대성을 찬미한 말로 쓰임.

금성탕지(金城湯池)[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10 페이지 / 전적]

방비가 너무 튼튼한 성지(城池)의 의미. 금성(金城)은 쇠처럼 견고한 성벽, 탕지(湯池)는 성벽 밑의 호(濠)에 끓는 물을 부어놓은 것.

금세부귀(今世富貴)[백발가(白髮歌) 9 페이지 / 전적]

이 생애에 얻은 부와 명예.

금세상(今世上)[초한가라 28 페이지 / 전적]

이 세상.

금수(禽獸)[츅친서라 3 페이지 / 전적]

날짐승과 길짐승이라는 뜻으로, 모든 짐승을 이르는 말. 또는 행실이 아주 더럽고 나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수(禽獸)[노처녀가1(老處女歌 (一)) 2 페이지 / 전적]

날짐승과 길짐승. 곧 모든 짐승.

금수(禽獸)[자경별곡 5 페이지 / 전적]

날짐승과 길짐승. 곧 모든 짐승.

금수(禽獸)[백발가(白髮歌) 6 페이지 / 전적]

날짐승과 길짐승이라는 뜻으로, 모든 짐승을 이르는 말.

금수(禽獸)[경게가라 12 페이지 / 전적]

날짐승과 길짐승이라는 뜻으로, 모든 짐승을 이르는 말.

금수(禽獸)[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11 페이지 / 전적]

날짐승과 길짐승이라는 뜻으로, ①즉 모든 짐승을 말함 ②무례(無禮)하고 추잡(醜雜)한 행실(行實)을 하는 사람을 빗대어 하는 말.

금수(禽獸)[효행가(효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짐승.

금수(禽獸)[의로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짐승.

금수(禽獸)[경게가라 12 페이지 / 전적]

날짐승과 길짐승이라는 뜻으로, 모든 짐승을 이르는 말.

금수(禽獸)[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11 페이지 / 전적]

날짐승과 길짐승이라는 뜻으로, ①즉 모든 짐승을 말함 ②무례(無禮)하고 추잡(醜雜)한 행실(行實)을 하는 사람을 빗대어 하는 말.

금수(禽獸)[의로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짐승.

금수(禽獸)[효행가(효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짐승.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