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길경(吉慶)[답사향곡(답향곡) 2 페이지 / 전적]
아주 경사스러운 일.
길군악(-軍樂)[김씨효행가 22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시대 십이 가사의 하나. 민요적인 색채를 띠고 있으며 중간에 입타령이 끼어 있음. 옛 취타곡(吹打曲)의 하나. 임금의 거둥 때나 군대의 행진 때 연주되었음.
길년(吉年)[가사애부가(가부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결혼하기 좋은 해나 나이.
길더니[규중여자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원문에 “겨더니”로 되어 있는데, 이는 방언에서 ‘길다’의 뜻으로 쓰인다.
길마[명궁처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짐을 싣거나 달구지를 채울 수 있도록 말이나 소의 등에 얹는 운반구.
길마가지[로인가 4 페이지 / 전적]
등이 굽은 가지. ‘길마’는 짐을 싣거나 수레를 끌기 위하여 소나 말 따위의 등에 얹는 굽은 모양의 안장을 가리킴.
길마재[거창가라 5 페이지 / 전적]
무악(毋岳)재'의 옛 이름.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과 홍제동 사이에 있는 고개.조선 태조 3년(1394)에 태조가 도읍터를 물색하기 위하여 몸소 무학 대사를 데리고 와서 조사하였다 하여 '무학재'라고도 함.예로부터 한양으로 들어오는 교통의 요충지였음.
길마재[아림가(娥林歌) 5 페이지 / 전적]
무악(毋岳)재'의 옛 이름.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과 홍제동 사이에 있는 고개. 조선 태조 3년(1394)에 태조가 도읍터를 물색하기 위하여 몸소 무학 대사를 데리고 와서 조사하였다 하여 '무학재'라고도 함. 예로부터 한양으로 들어오는 교통의 요충지였음.
길몽(吉夢)에는 경사(慶事)[권왕가 35 페이지 / 전적]
좋은 일이 생길 징조의 꿈에는 기쁘고 좋은 일.
길봉[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6 페이지 / 전적]
사내종의 이름.
길봉길봉(吉逢吉逢)[길자가(吉字歌) 3 페이지 / 전적]
길(吉)함이 만나다.
길봉길봉(吉逢吉逢)[정도선림하정씨가(正道仙林下鄭氏歌) 1 페이지 / 전적]
길(吉)함이 만나다.
길사(吉事)[종매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좋은 일.
길상(吉祥)[수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운수가 좋을 조짐.
길상(吉祥)[수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운수가 좋을 조짐.
길성방(吉星方)[시절가 22 페이지 / 전적]
길하고 상서로운 별인 길성이 비치는 곳. 이곳은 좋은 일이 있다고 함.
길신(吉辰[인여가(引轝歌) 11 페이지 / 전적]
길일(吉日).
길신(吉辰[인여가(引轝歌) 11 페이지 / 전적]
길일(吉日).
길신(吉辰[인여가(引轝歌) 11 페이지 / 전적]
길일(吉日).
길싱덜니[초한가라 4 페이지 / 전적]
吉祥든 이. 算 잘 놓는 이, 수 잘 쓰는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