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길쌈[대비훈민가 15 페이지 / 전적]
실을 내어 옷감을 짜는 모든 일을 통틀어 이르는 말.
길쌈[여행록이라(여녹이라) 27 페이지 / 전적]
실을 내어 옷감을 짜는 모든 일을 통틀어 이르는 말.
길쌈[나부가라(라부가라) 2 페이지 / 전적]
실을 내어 옷감을 짜는 모든 일을 통틀어 이르는 말.
길쌈[군산월애원가(군월원가) 16 페이지 / 전적]
실을 내어 옷감을 짜는 모든 일을 통틀어 이르는 말.
길쌈[남산동이진사효행록(남동이진효횡녹) 2 페이지 / 전적]
실을 내어 옷감을 짜는 모든 일을 통틀어 이르는 말.
길쌈[허후전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실을 내어 옷감을 짜는 모든 일을 통틀어 이르는 말.
길쌈[조선국퇴정문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동식물의 섬유를 가공하여 피륙을 짜 이루기까지의 모든 수공(手工)의 일.방적(紡績).
길쌈[남은곡 권지단이라 20 페이지 / 전적]
실을 내어 옷감을 짜는 모든 일을 통틀어 이르는 말.
길아길아(吉我吉我)[청림도사궁을전(靑林道士弓乙傳) 6 페이지 / 전적]
길(吉)아 길(吉)아, 길(吉)을 부르는 것.
길아길아(吉我吉我)[합자가(合字歌) 2 페이지 / 전적]
길(吉)아 길(吉)아, 길(吉)을 부르는 것.
길아길아(吉我吉我)[길자가(吉字歌) 2 페이지 / 전적]
길(吉)아 길(吉)아, 길(吉)을 부르는 것.
길야은(吉冶隱)[슈절자탄가 6 페이지 / 전적]
야은(冶隱) 길재(吉再).
길야은(吉冶隱)[슈절자탄가 6 페이지 / 전적]
야은(冶隱) 길재(吉再).
길야은(吉冶隱)[한흥가라 5 페이지 / 전적]
야은(冶隱) 길재(吉再).
길야은(吉冶隱)[한흥가라 5 페이지 / 전적]
야은(冶隱) 길재(吉再).
길야은(吉冶隱)[한흥가라 5 페이지 / 전적]
야은(冶隱) 길재(吉再).
길야은(吉冶隱)[한양가라 3 페이지 / 전적]
길재(吉再)를 가리킴.
길야은(吉冶隱)[비틀노래 4 페이지 / 두루마리]
고려 때의 삼은(三隱) 중 한 분인 야은(冶隱) 길재(吉再, 1353-1419)를 말한다.
길야은(吉冶隱)[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3 페이지 / 전적]
길재의 성과 호를 함께 이르는 말. 길재는 고려말기에서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1353~1419)로 자는 재부(再夫), 호는 야은(冶隱)·금오산인(金鰲山人)이다. 고려 삼은(三隱) 가운데 한 사람으로, 이색·정몽주 등의 문하에서 학문을 익히고 성균관 박사가 되어 유생들을 가르쳤다. 저서에
길운(吉運)[회경가 14 페이지 / 전적]
좋은 기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