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추당(秋塘) 만부용(晩美蓉)[사미인곡 10 페이지 / 전적]
가을 연못에 때 늦은 연꽃.
추대(推戴)[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7 페이지 / 전적]
윗사람으로 떠받듦.
추대(推貸)[김대비훈민가(김비훈민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돈을 돌려서 꾸어 주거나 꾸어 씀. 취대(取貸).
추대변통(推貸變通)[오륜가라 31 페이지 / 전적]
돈을 꿔 쓰기도 하고 꿔 주기도 함.
추동(推動)[말이타국원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물체에 힘을 가하여 앞으로 나아가게 하거나 흔듦.
추래(秋來)[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가을이 되는 것.
추량(秋凉)[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0 페이지 / 전적]
가을의 서늘하고 맑은 기운.
추려 잡고[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10 페이지 / 전적]
골라잡고
추렴[회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모임이나 놀이 또는 잔치 등의 비용으로 여럿이 각각 얼마씩의 돈을 내어 거둠.
추렴[용문가라 20 페이지 / 전적]
모임이나 놀이 또는 잔치 따위의 비용으로 여럿이 각각 얼마씩의 돈을 내어 거둠.
추례동시(秋禮冬詩)[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21 페이지 / 전적]
經書를 講讀하는 차서를 말함 옛날 泮宮에서는 冬夏에는 詩, 書를 가르키고 春秋에는 禮․樂을 가르쳤음.
추로(鄒魯)[축산별곡 4 페이지 / 전적]
공자(노나라)와 맹자(추나라)를 말함.
추로(鄒魯), 광견(狂狷)[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58 페이지 / 전적]
공자와 맹자를 뜻하는 공맹(孔孟)을 가리킴. 공자는 노나라 사람이고, 맹자는 추나라 사람이라는 데서 일컬어진 말, 공연히 이상만 높고, 실행이 따르지 않으며, 생각이 부족하여 고루한 일. 또는 그러한 사람.
추로국(鄒魯國)[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7 페이지 / 전적]
공자는 노나라 사람이고 맹자는 추나라 사람이라는 뜻으로, 공자와 맹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추로명향(鄒魯名鄕)[용문가라 5 페이지 / 전적]
공자와 맹자의 고향을 추로라 하는 것처럼 학문과 벼슬이 번성한 마을.
추로방동[은삭가 10 페이지 / 전적]
추로를 섬기는 우리나라. 추로는, 공자는 노나라 사람이고 맹자는 추나라 사람이 라는 뜻으로, 공자와 맹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추로방동[은삭가 10 페이지 / 전적]
추로를 섬기는 우리나라. 추로는, 공자는 노나라 사람이고 맹자는 추나라 사람이 라는 뜻으로, 공자와 맹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추로지풍(鄒魯之風)[몽중가(夢中歌) 8 페이지 / 전적]
공자와 맹자의 고향을 말하며, 학문이 번성함을 뜻함.
추로지풍(鄒魯之風)[시호가(時呼歌) 2 페이지 / 전적]
공자와 맹자의 고향을 말하며, 학문이 번성함을 뜻함.
추로지풍(鄒魯之風)[안심가 14 페이지 / 전적]
맹자와 공자의 고향인 ‘추(鄒)’와 ‘노(魯)’ 같은 고장의 기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