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추심(推尋)[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2 페이지 / 전적]
찾아내서 가져옴.
추심(推尋)[합강정가(合江亭歌) 6 페이지 / 전적]
찾아내서 가져옴.
추앙(推仰)[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8 페이지 / 전적]
높이 받들어 우러러 봄.
추야월(秋夜月)[초암가 6 페이지 / 전적]
가을밤의 달.
추야월(秋夜月)[교몽가 2 페이지 / 전적]
가을밤의 달.
추야장(秋夜長)[추월감 5 페이지 / 두루마리]
길고 긴 가을밤.
추양(秋陽)[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1 페이지 / 전적]
가을 볕.
추양(秋陽)[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27 페이지 / 전적]
孟子 滕文公上에 「江漢以濯之 秋陽以暴之 皜皜乎不可尙巳」라는 대문이 있는데 이는 孔子의 道德이 光輝潔白하여 有若으로서는 능히 彷彿할 바 아니라는 점을 말한 것임.
추양(秋陽)[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31 페이지 / 전적]
「秋陽江漢」― 孔子의 道德이 明著하여 光輝潔白함을 말한 것임. 孟子 膝文公篇에 「曾子曰 江漢以濯之 秋陽以暴之 皜皜乎不可尙己」라는 대문이 있음.
추양(鄒陽)[송강집(松江集六)6 80 페이지 / 전적]
한(漢)나라 경제(景帝) 때 사람으로 문장과 구변이 유명하였으며, 오왕(吳王 )이 반역을 도모하자 양(梁)나라로 갔다가 참소를 입어 하옥되었는데 글을 올려 석
추어주다[여행록이라(여녹이라) 11 페이지 / 전적]
실제보다 높여 칭찬함.
추연(惆然)[별한가 13 페이지 / 전적]
처량하고 슬픔.
추연정금(湫然正襟)[무제(▩▩▩▩) 9 페이지 / 두루마리]
옷깃을 여미며. 소동파의 <적벽부(赤壁賦)>에 나오는 구절.
추연정금(湫然正襟)[무제(▩▩▩▩) 9 페이지 / 두루마리]
옷깃을 여미며. 소동파의 <적벽부(赤壁賦)>에 나오는 구절.
추영(趨迎)[칠여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빨리 뛰어나가 맞아들임. 혼례에서 주인이 문 앞으로 나가 신랑을 맞이하는 것.
추우(騶虞)[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8 페이지 / 전적]
「騶虞」- 召南 風의 終章名임. 騶虞는 獸名인데 白虎黑文으로生草를 밟지 아니하고 生物을 먹지 않는 仁獸라 하였음. 朱傳에「文王의 化가 關雎에 시작하여 麟趾에 이르러는 그 化가 사람에게 들어간 것이 깊고 鵲巢에 形成하여 騶虞에 미쳐서는그 澤이 物에 미친 것이 넓다 하겠다 」라 하였음.
추우(騶虞)[고봉선생문집 권이(高峰先生文集 券二) 163 페이지 / 전적]
모양이 백호(白虎)와 비슷한데 검정 무늬가 있으며 꼬리가 몸보다 긴 짐승. 생물을 잡아먹지 않고 생풀을 먹지 않는다 하여 기린과 함께 인수(仁獸)로 알려져 있다.
추우강남(追友江南)[붕우들아춘회굑 2 페이지 / 두루마리]
‘친구 따라 강남 간다’는 뜻으로, 자기는 꼭 필요하지 않더라도 벗을 위해 먼 길이라도 간다는 말. 또는 줏대 없이 남의 권유에 따르거나, 남의 말에 동조하는 것을 이르는 말.
추우동엄 낙엽시[타미계라(라미키라) 4 페이지 / 전적]
추우오동 낙엽시(秋雨梧桐落葉時)의 오기. 가을비 오동나무잎 떨어질 때.
추우동엄 낙엽시[타미계라(라미키라) 4 페이지 / 전적]
추우오동 낙엽시(秋雨梧桐落葉時)의 오기. 가을비 오동나무잎 떨어질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