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추상(推尙)하고[농어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높이 받들고.
추상(秋霜)[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9 페이지 / 전적]
가을의 찬서리.
추상(秋霜)[회경가 9 페이지 / 전적]
가을의 찬 서리
추상(秋霜)[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가을날의 찬 서리처럼 매서움.
추상(秋霜)[한양가라 53 페이지 / 전적]
가을 서릿기발처럼 호령 등이 위엄이 있고 서슬이 푸르다.
추상(秋霜)[시절가 9 페이지 / 전적]
가을의 찬 서리.
추상대설(秋霜大雪)[오윤가 22 페이지 / 전적]
가을의 찬서리와 큰 눈.
추색(秋色)[비틀노래 3 페이지 / 두루마리]
가을의 분위기를 느끼게 하는 단풍의 빛깔.
추서(墜緖)[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19 페이지 / 전적]
「墜緖」- 일이 이미 衰하여 장차 끊어지게 되었는데, 아직 끊어지지 않은 것임. 韓愈文에「尋墜緖之茫茫」이라 하였음. 濂洛은濂은 周濂溪, 洛은 兩程을 말함.
추서(墜緖)[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09 페이지 / 전적]
일이 장차 衰絶하게 되어 보존한 것을 말함. 韓愈의 進學解에 「∝墜緖之茫茫 獨旁搜而遠紹」라는 구절이 있음.
추석(甃石)[석천집(石川集二-五)2-5 135 페이지 / 전적]
우물 벽돌
추석(秋夕)[과부가(寡婦歌) 3 페이지 / 전적]
가위. 한가위.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음력 8월 15일.
추석(秋夕)[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1 페이지 / 전적]
가위.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음력 8월 15일.
추석(秋夕)[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로 음력 팔월 보름날이다. 신라의 가배(嘉俳)에서 유래하였다고 하며, 햅쌀로 송편을 빚고 햇과일 따위의 음식을 장만하여 차례를 지낸다.
추석(秋夕)[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로 음력 팔월 보름날이다. 신라의 가배(嘉俳)에서 유래하였다고 하며, 햅쌀로 송편을 빚고 햇과일 따위의 음식을 장만하여 차례를 지낸다.
추석일(秋夕日)[사친가1(思親歌(一)) 8 페이지 / 전적]
가윗날. 한가위.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음력 8월 15일.
추성(樞星)[직금가라 6 페이지 / 전적]
북두칠성의 머리 쪽에 있는 네 개의 별 가운데 첫째 별. 큰곰자리의 알파성(alpha星)으로, 밝기는 2.0등급이다.
추성(樞星)[막소가(莫笑歌) 13 페이지 / 전적]
북두칠성의 머리 쪽에 있는 네 개의 별 가운데 첫째 별.
추성(秋城)[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50 페이지 / 전적]
「秋成」-秋城의 誤인듯한데 潭陽의 舊號 玉樹는 美材에 비유한 말임. 杜甫의 飮中八仙歌에「皎如玉樹臨風前」이란 句가 있음.
추성(秋城)[석천집(石川集二-五)2-5 107 페이지 / 전적]
담양(潭陽)의 옛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