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추풍오호(秋風五湖)[회츈가라 1 페이지 / 전적]
가을바람이 부는 오호(五湖).
추풍홀억(秋風忽憶)[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가을바람에 훌훌 털어버리다.
추풍홀억(秋風忽憶)[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가을바람에 훌훌 털어버리다.
추풍홀억송강로(秋風忽憶松江鱸)[사친가1(思親歌(一)) 8 페이지 / 전적]
‘가을바람에 문득 송강의 노어를 생각한다.’는 뜻. 송강로(松江鱸) : 중국 진(晉)나라 때 시인인 장한(張翰)의 고향 오군(吳郡)의 송강에서 나는 노어(鱸魚). 거구세린(巨口細鱗)으로 칭송되는 이곳 노어는 회재(膾材)로 유명함.
추필(推筆)[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글을 쓰고 난 다음 덧붙여 말함.
추한(秋寒)[오윤가 23 페이지 / 전적]
가을추위.
추향(秋享)[아림가(娥林歌) 36 페이지 / 전적]
가을에 지내는 제사.
추현양로(准賢養老)[낙지가 6 페이지 / 전적]
어진 자를 좇으며 노인을 공경함.
추혜시은(推惠施恩)[명륜가(明倫歌) 50 페이지 / 전적]
은혜를 베풂.
추호(秋毫)[한흥가라 18 페이지 / 전적]
매우 적거나 조금인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추호(秋毫)[한흥가라 18 페이지 / 전적]
매우 적거나 조금인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추호(秋毫)[한흥가라 18 페이지 / 전적]
매우 적거나 조금인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추호(秋毫)[한양가라 16 페이지 / 전적]
가을에 짐승의 털이 아주 가늘다는 뜻으로 아주 적거나 조금인 것을 비유.
추호(秋毫)[한양가라 30 페이지 / 전적]
가을에 짐승의 털이 아주 가늘다는 뜻으로, 아주 적거나 조금인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추호(秋毫)[이별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가을 짐승의 털이 매우 가늘다는 뜻으로, 털끝만큼 마주 조금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추호(秋毫)[조선충효가 19 페이지 / 두루마리]
가을에 짐승의 털이 아주 가늘다는 뜻으로, 아주 적거나 조금인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추호(秋毫)[녁대가(녁가) 19 페이지 / 전적]
가을철에 털갈이하여 새로 돋아난 짐승의 가는 털. 매우 적거나 조금인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추호반점(秋毫半點)[명륜가(明倫歌) 34 페이지 / 전적]
아주 작거나 적은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조금도.
추호반점(秋毫半點)[명륜가(明倫歌) 102 페이지 / 전적]
아주 작거나 적은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추호일리(秋毫一釐)[경화가(警和歌) 30 페이지 / 전적]
한 터럭의 끝. 아주 가늚을 비유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