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추호일리(秋毫一釐)[경화가(警和歌) 30 페이지 / 전적]

한 터럭의 끝. 아주 가늚을 비유함.

추호일말[론학가권지일 20 페이지 / 전적]

일말의 추호.

추호일말[론학가권지일 20 페이지 / 전적]

일말의 추호.

추환(芻豢)[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19 페이지 / 전적]

「芻豢」-草食하는 것은 芻라 하여 牛羊을 말하고 穀食하는 것은 豢이라 하여 犬豕를 말함。孟子 告子에 「理義之悅我心 猶芻豢之悅我口」라 하였음。

추회(秋悔)[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1 페이지 / 두루마리]

가을에 문득 떠오르는 생각. 추사(秋思)와 같은 말.

추회(秋悔)[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1 페이지 / 두루마리]

가을에 문득 떠오르는 생각. 추사(秋思)와 같은 말.

추회(追悔)[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33 페이지 / 전적]

지난 일을 뉘우침.

추회(追悔)[연행별곡(연별곡) 23 페이지 / 전적]

지난 일을 뉘우침.

추후(追後)[오륜가라 23 페이지 / 전적]

뒤를 쫓음.

축간(丑艮) 박수(剝搜)[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6 페이지 / 전적]

축간방(東과 北 사이)으로 산이 돌아서 간방(艮方)으로 입수(入首)함.

축객(逐客)[금강산유람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손님을 푸대접하여 쫓아냄.

축관(祝官)[자치가라 19 페이지 / 두루마리]

제사 때에 축문을 읽는 사람.

축관(祝官)[소상팔경가 19 페이지 / 전적]

제사 때에 축문을 읽는 사람.

축관(祝官)[자치가 21 페이지 / 전적]

제사 때에 축문을 읽는 사람.

축년(祝年)[한양가라 47 페이지 / 전적]

기일(忌日)과 같은 뜻.

축록(逐鹿)[알성가(謁聖歌) 34 페이지 / 전적]

사슴을 쫓음. 제위나 정권을 다툼의 비유

축방(丑方)[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1 페이지 / 전적]

북동 방향. 정북(正北)으로부터 동으로 삼십도(三十度)되는 방위를 중심으로 한 좌우 15도의 방위.

축방(丑方)[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축방은 정북방인 자방(子方)과 정동북방인 간방(艮方)의 사이에 있는 방향이다.

축방(丑方)[구산가(求山歌) 4 페이지 / 전적]

이십사방위의 하나. 정북(正北)에서 동(東)으로 30도 각도를 중심으로 한 15도 각도 안의 방향.

축방(丑方)[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축방은 정북방인 자방(子方)과 정동북방인 간방(艮方)의 사이에 있는 방향이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