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춘남(春南)[고분가 13 페이지 / 전적]
봄에는 남쪽으로.
춘남추북(春南秋北)[별한가 17 페이지 / 전적]
봄에는 남쪽으로 가을에는 북쪽을 향함.
춘다[조심가라 35 페이지 / 전적]
추다. 다른 사람의 기분을 맞추느라 훌륭하거나 뛰어나다고 말함.
춘다[조심가라 35 페이지 / 전적]
추다. 다른 사람의 기분을 맞추느라 훌륭하거나 뛰어나다고 말함.
춘단[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7 페이지 / 전적]
여자 하인의 이름.
춘당[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6 페이지 / 전적]
계집종의 이름.
춘당대(春塘臺)[팔도안희가 19 페이지 / 전적]
한양 창경궁 안에 있는 대(臺)로 옛날에 과거를 실시하던 곳이다. 여기서 보던 과거시험을 춘당대시(春塘臺試)라 하여 임금이 몸소 나와 창경궁 춘당대에서 보이던 문무과의 시험이었다. 이 과거시험은 왕실에 경사가 있을 때나 유생을 시험하기 위하여 임시로 행한 것으로, 이 시험만으로 대과(大科) 3단계 시험의 마지막 단계인 전시(殿試)를 보는 것과 같은 혜택을 주었다.
춘당대(春塘臺)[옥셜화답 9 페이지 / 전적]
서울의 창경궁(昌慶宮) 안에 있는 누대(樓臺). 조선 시대 때 왕실에 경사가 있거나 혹은 유생을 시험하기 위하여 왕이 몸소 친림(親臨)하여 임시로 문무과(文武科) 시험을 시행했으며, 이때의 치러진 시험을 ‘춘당대시(春塘臺試)‘라 하였음.
춘당대(春塘臺)[이화가젼 14 페이지 / 전적]
서울 창경궁 안에 있는 대(臺). 옛날에 과거를 실시하던 곳임.
춘당대(春塘臺)[이화가젼 14 페이지 / 전적]
서울 창경궁 안에 있는 대(臺). 옛날에 과거를 실시하던 곳임.
춘당대(春塘臺)[한흥가라 9 페이지 / 전적]
서울 창경궁 안에 있는 대(臺). 옛날에 과거를 실시하던 곳.
춘당대(春塘臺)[한흥가라 9 페이지 / 전적]
서울 창경궁 안에 있는 대(臺). 옛날에 과거를 실시하던 곳.
춘당대(春塘臺)[한흥가라 9 페이지 / 전적]
서울 창경궁 안에 있는 대(臺). 옛날에 과거를 실시하던 곳.
춘당대(春塘臺)[한양가라 8 페이지 / 전적]
창경궁(昌慶宮)에 있는 대로 과거시험을 시행하던 곳이다.
춘당대(春塘臺)[자치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창경궁 안에 있는 대(臺). 옛날에 과거를 실시하던 곳.
춘당대(春塘臺)[쳥츈상심곡(쳥츈심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창경궁 안에 있는 대, 예전에 과거를 보던 장소이다.
춘당대(春塘臺)[춘화추동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창경궁 안에 있는 대. 예전에 과거를 보던 장소.
춘당대(春塘臺)[셔유곡 11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창경궁(昌慶宮) 후원(後苑)에 쌓았던 석대(石臺).
춘당대(春塘臺)[신힁가라 22 페이지 / 전적]
창경궁(昌慶宮) 안에 있는 대(臺). 또는 춘당대시(春塘臺試)를 줄여서 부르는 말. 춘당대시는 왕실에 경사가 있거나 유생(儒生)을 시험하기 위해 부정기적으로 실시하던 문 ·무과(文武科)로, 1572년(선조 3) 선조가 창경궁의 춘당대에 친림(親臨)하여 치르게 한 데서 비롯되었는데, 이 시험만으로 대과(大科) 3단계 시험의 마지막 단계인 전시(殿試)를 보는 것과 같은 혜택을 줌. 시험은 제술(製述)과만으로 하고, 합격자 수는 일정한 정원이 없었음.
춘당대(春塘臺)[소상팔경가 7 페이지 / 전적]
창경궁 안에 있는 대(臺).옛날에 과거를 실시하던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