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출문(出門)[부덕가(婦德歌) 4 페이지 / 전적]
문밖으로 나감. 집을 떠남.
출반주(出班奏)[팔도안희가 9 페이지 / 전적]
여러 신하 가운데 특별히 혼자 나아가 임금에게 아뢰거나, 여러 사람이 모인 자리에서 맨 먼저 말을 꺼내는 것을 말한다.
출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31 페이지 / 전적]
「發軔」 ― 출행을 말함. 楚辭 離騷에 「朝發軔於蒼梧兮 夕余至乎縣圃」라했음.
출사표(出師表)[송강집(松江集七)7 143 페이지 / 전적]
出師表 삼국(三國) 때 공명(孔明)이 출정(出征)하면서 그 임금 후주(後主)에게 올린 글인데 그의 우국충정이 통절하기로 유명하다.
출사표(出師表)[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3 페이지 / 전적]
위(魏)나라를 치기 위해 출병할 때, 촉(蜀)나라 황제 유선(劉禪)에게 바친 글로서, 국가의 장래를 우려한 전문(全文)은 제갈공명의 진정(眞情)을 토로한 정열적인 고금(古今)의 명문(名文).
출사표(出師表)[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3 페이지 / 전적]
위(魏)나라를 치기 위해 출병할 때, 촉(蜀)나라 황제 유선(劉禪)에게 바친 글로서, 국가의 장래를 우려한 전문(全文)은 제갈공명의 진정(眞情)을 토로한 정열적인 고금(古今)의 명문(名文).
출사표(出師表)[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3 페이지 / 전적]
위(魏)나라를 치기 위해 출병할 때, 촉(蜀)나라 황제 유선(劉禪)에게 바친 글로서, 국가의 장래를 우려한 전문(全文)은 제갈공명의 진정(眞情)을 토로한 정열적인 고금(古今)의 명문(名文).
출사표(出師表)[무제(▩▩▩▩)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삼국시대 촉나라의 재상 제갈량이 출병하면서 후왕에게 적어 올린 글. 우국(憂國)의 내용이 담긴 명문장으로 유명하다.
출사표(出師表)[대명복수가(명복수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위(魏)나라를 치기 위해 출병할 때, 촉(蜀)나라 황제 유선(劉禪)에게 바친 글로서, 국가의 장래를 우려한 전문(全文)은 제갈공명의 진정(眞情)을 토로한 정열적인 고금(古今)의 명문(名文).
출사표(出師表)[대명복수가(명복수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위(魏)나라를 치기 위해 출병할 때, 촉(蜀)나라 황제 유선(劉禪)에게 바친 글로서, 국가의 장래를 우려한 전문(全文)은 제갈공명의 진정(眞情)을 토로한 정열적인 고금(古今)의 명문(名文).
출사표(出師表)[무제(▩▩▩▩)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삼국시대 촉나라의 재상 제갈량이 출병하면서 후왕에게 적어 올린 글. 우국(憂國)의 내용이 담긴 명문장으로 유명하다.
출사표(出師表)[시절가 14 페이지 / 전적]
중국 삼국시대 촉(蜀)나라의 재상 제갈공명(諸葛孔明)이 위나라를 토벌하러 떠날 때 임금에게 올린 글. 출사표란
출사이[앤여가(여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출사(出仕)하니. 처음 벼슬에 나가는 것을 말함.
출세(出世)[권왕가 16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145 참조.
출세(出世)[권왕가 61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145 참조.
출세(出世)[교훈가 7 페이지 / 전적]
숨었던 사람이 세상에 나옴.
출세인간(出世人間)[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5 페이지 / 전적]
인간 세상에 나옴.
출세인간(出世人間)[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5 페이지 / 전적]
인간 세상에 나옴.
출세흔적(出世痕迹)[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6 페이지 / 전적]
세상에 나온 자취.
출세흔적(出世痕迹)[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6 페이지 / 전적]
세상에 나온 자취.